전국의 5인 미만 개인사업체의 절반이 연간 매출 5천만 원 미만의 영세업체이며 평균소득은 2천700만 원에 지나지 않는다는 통계청 조사 결과는 '빈곤'으로 내몰리는 자영업자가 처한 열악한 현실을 잘 말해준다. 자영업자의 소득이 이렇게 적은 것은 불황으로 인한 매출 감소에도 원인이 있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과당경쟁이다.
우리나라의 전체 취업자 대비 자영업자 비중은 31.3%(2008년 기준)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15.8%의 두 배에 달한다. 독일이나 미국에 비해서는 3, 4배나 높으며 OECD 회원국 중 한국보다 자영업자 비율이 높은 나라는 그리스(35.1%) 멕시코(33.9%) 터키(39.0%) 세 나라뿐이다. 퇴직 연령이 빨라지면서 은퇴 후 마땅한 직업을 찾지 못한 퇴직자들이 너도나도 생계형 창업에 나선 결과다.
그러다 보니 자영업 창업은 퇴직자들의 무덤이 되고 있다. 소상공인진흥원에 따르면 창업 후 1년 안에 16.7%가 폐업하고 창업 3년 후 생존율도 53.4%로 절반을 겨우 넘기고 있다. 식당용품 '땡처리' 업자가 성업 중이라는 것은 이런 현실을 잘 비춰주고 있다. 이는 자영업자를 빈곤층으로 전락시키고 가계 부채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등 사회불안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다.
이를 위해서는 퇴직 후에도 적정 수입이 보장되는 일자리가 많이 나와야 한다. 기업의 일자리 나누기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은퇴자의 경험과 지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자리 나누기는 기업과 은퇴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미국 등 선진국에서 하고 있는 것처럼 은퇴 후 어떻게 살 것인지에 대한 설계를 공적 차원에서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지금처럼 은퇴 설계를 퇴직자에게만 맡겨 둬서는 자영업자의 빈곤층 전락은 피하기 어렵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