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공천 헌금 파문이 터지면서 중단됐던 새누리당 대선 후보 결정을 위한 경선 일정이 주말 봉합 작업 끝에 6일(월)부터 재개됐다. 새누리당은 7인 연석회의를 갖고 공천 헌금 관련 의혹이 사실일 경우 황우여 대표가 책임지기로 합의하면서 '48시간 경선 파행'을 일단락지었다.
비박(非朴) 4인방은 당내 10인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천 헌금설 관련 내부 조사에 들어갔다. 잘못을 범한 자를 다룰 때는 비록 아버지가 심판관이라도 그 자식을 용서할 수 없는 것이고, 자식이라도 아버지를 용서해서는 안 되는 상식에 따른다면 진상 조사는 냉혹하고 철저하게 추진돼야 한다.
비박 4인방은 물론 야권으로부터도 공천 책임에 대해 공격받던 박근혜 의원은 "공천에 문제가 있다면 강력 대응하겠다"며 송구한 마음을 전하면서 문제를 일단락시켰으나 멘붕 상태다. 공천 파문의 핵심으로 100억 원대 재력가인 현영희 의원이 6일 오후 2시 검찰에 자진출석한 가운데 이번 공천 헌금 관련 의혹의 사실 여부는 검찰이 밝혀낼 일이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물론 야당도 공천 헌금 뇌관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다. 특히 호남에서는 민주당, 영남에서는 새누리당의 공천만 받으면 당선은 따 놓은 당상인 유권자들의 '묻지 마 지지'가 계속될 경우 부패의 원천인 공천 장사의 유혹은 언제든지 덮칠 수 있다. 오죽하면 전국구인 비례대표를 전국구(錢國區)라고까지 했을까?
우리나라 정치사에서 공천 장사의 피크를 이룬 시기는 3김 시대다. 이후 공천 장사는 민주화로 대변되는 1987년 체제 이후 25년간 많이 퇴색되었으나 아직도 '공천 장사는 대목 장사'라는 인식이 상존한다.
"국회의원이 해달라는 대로 다 해주면 감옥 가고, 안 해주면 공천장을 거머쥘 수 없다"거나 "정치 하려고 줄 서는 사람도 많은데, 숨어 있는 사람을 왜 발굴하느냐?"는 정당의 입장은 와서 굽신거려야 공천감으로 여기는 정치 풍토를 대변한다.
지난 4'11 총선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신청자는 무려 616명, 이 가운데 25명이 금배지를 달았다. 경제민주화와 교육선진화, 양성평등 사회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대부도, 경북 여성 정책의 간판스타도 새누리당이 선관위에 제출한 비례대표 공천 대상자 46명 안에 포함되지 못했다. 정치를 타락시키는 주범인 공천 장사는 이제 뿌리를 도려내야 할 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