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의 맹독성 녹조 현상의 확산으로 대구경북 주민들의 먹는 물 관리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관계기관이 긴급 대책마련에 나섰다.
6월 낙동강 하류에서 시작한 녹조는 이달 들어 대구시민의 식수원인 문산정수장과 매곡정수장 턱밑까지 올라왔다. 두 정수장은 250만 대구시민의 식수 중 70%가량을 생산하고 있어 자칫 이를 방치할 경우 대규모 식수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구지방환경청은 긴급 4단계 대응 조치에 나섰다. 지방환경청은 광합성 색소인 클로로필-a 농도를 기준으로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로 나누어 대응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또 하천수질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녹조 원인과 실태 조사에 나섰다. 우선 폐수배출사업장에 대한 점검 강화를 포함해 취수장, 정수장, 상수도 시설의 수질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기상 상황'하천 수문'저수량 등을 고려해 저수보의 방류량을 결정하기로 했다. 또 시료 채취를 주 2회 이상으로 늘리고 조류가 증식하는 수심 이하로 취수장의 취수구를 이동할 계획이다. 대구지방환경청 안유환 수질 총량 관리과장은 "앞으로 조류 상황에 맞춰 활성탄 및 오존 처리를 통해 정수를 강화하고 정수된 물에 대한 독소 분석도 함께 이뤄질 것이다"며 "더 심해질 경우 조류 발생지역에 방어막을 설치하고 황토 등 흡착포를 뿌리고 조류 제거선을 이용해 녹조를 제거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