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낙동강 녹조 확산, 명확한 대처 방안 있나

환경단체들이 이달 들어 낙동강 중류인 대구까지 녹조 현상이 확산됐고 특히 독성 물질을 가진 남조류가 200만여 대구시민의 식수를 위협하고 있다며 경고하고 나섰다. 반면 대구시와 환경청은 녹조가 예년 수준이며 고도 정수 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수돗물 안전에 영향이 없다며 반박하고 있다. 현상을 과장해 공연히 불안감을 조성해서도 안 되지만 사태를 안이하게 보고 방치하는 것 또한 있을 수 없다.

환경단체들은 지난 6월 함안'창녕 등 하류에서 보이던 녹조 현상이 최근 고령, 달성 일대까지 퍼졌다고 확인했다. 보 건설로 인해 강물이 고여 있는데다 폭염으로 수온이 상승해 녹조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대구시민 약 70%의 식수 취수원인 매곡'문산정수장과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녹조가 번졌고, 무엇보다 독성 물질을 가진 남조류의 일종인 마이크로시스틴이 녹조에서 검출돼 인체와 환경에 나쁜 영향이 우려된다며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대구시는 낙동강 중상류 7곳의 정수장 중 문산'매곡정수장, 고령광역정수장 등 3곳은 고도 정수 처리 시설을 갖춰 수돗물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나머지 상류 쪽의 상주'예천 정수장도 하천 바닥 아래의 복류수를 취수하는 방식이어서 안전하다는 것이다. 누구 말을 믿어야 할지 혼란스럽지만 이런 불편한 상황에 대해 당국은 명확한 해명과 만반의 대응 조치를 서둘러야 한다.

낙동강 생태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매우 심각한 문제다. 강물이 수백만 명의 식수원이라면 상황 변화를 더욱 예의주시해야 한다. 환경단체들도 신중하면서도 과학적으로 사안에 접근하고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한다. 당국은 이런 지적을 귀담아듣고 남조류에 대한 명확한 대처 방안 마련과 주기적인 수질 분석 등을 통해 시민 불안이 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