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 사업체 가운데 평균 생존기간이 가장 긴 것은 여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영세사업자 실태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이전에 진입한 사업체 가운데 여관의 평균 생존기간이 5.2년으로 1위를 차지했다. 여관의 3년 생존율은 74.3%다. 치과의원이 평균 생존기간 4.9년(3년 생존율 71.3%)으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기타 관광숙박시설 4.5년(66.9%), 한의원 4.5년(64.3%), 일반의원 4.5년(63.1%), 가정용 세탁업 4.5년(62.5%) 등 순이다. 생존기간이 긴 업종의 상위 5위는 숙박업과 의원이 차지했다.
반면 스포츠 교육기관은 평균 생존기간이 2년으로 가장 짧았다. 3년 동안 폐업하지 않은 비율은 24.8%에 그쳤다. '셔츠'기타의복 소매업'(2.1년)과 '셔츠'외의 도매업'(2.1년), '남성용 정장 소매업'(2.2년) 등 의류판매업이 스포츠 교육기관의 뒤를 이었다.
KDI 관계자는 "전문성이 필요하거나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업종들의 경우 평균 생존 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