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삼일의 대잠동 화물자동차터미널(이하 터미널) 부지 8만8천600㎡에 대해 용도폐지 움직임을 보이자, 이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삼일이 터미널 부지매각으로 떼돈을 벌게 됐다거나 공단지역으로 터미널을 옮기는 과정에서 포항시의 배려가 있었다는 등의 소문이 심심찮게 나돌고 있다. 반면 터미널이 도심의 흉물인 만큼 삼일 측의 이전 요구는 타당하다는 의견도 많다.
◆화물터미널 폐지 과정
대잠동 터미널은 1984년 삼일을 비롯한 8개 회사가 조성을 논의했다. 하지만 삼일을 제외한 다른 회사들이 화물차가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면서 터미널 조성을 포기했다. 삼일은 당시 3.3㎡당 2만원가량에 부지 1만여㎡를 매입한 뒤, 7개 회사의 땅을 순차적으로 사들였다.
삼일은 1997년부터 터미널 운영에 들어갔으나 화물차들의 이용률이 예상외로 저조해 현재까지 18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삼일은 대송면 옥명리에 새로운 터미널 부지를 조성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포항시가 새 터미널을'이전'이 아닌 '신규 허가'로 사업허가를 내줘 논란의 단초가 되고 있다.
삼일 측은"터미널 두 곳을 운영할 경우 비용 부담이 큰데다 현재의 회사 자금사정을 고려하면 현 터미널 부지의 매각은 너무나 중요하다"며 "공람과 시의회 의결, 경북도의회 의결 등 절차가 많이 남았는데, 벌써부터 이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했다. 삼일은 그동안 줄기차게 포항시에 터미널 용도폐지를 주장했지만, 포항시는 용도폐지 후 도시계획 변경까지 이뤄지면 특혜성 논란이 빚어질 수 있다며 거부해왔다가 최근 입장을 바꿨다.
◆특혜 논란
특혜 시비는 포항시가 터미널 용도폐지를 추진하는 시기에서 비롯됐다. 포항시는 지난 6월 5년마다 이뤄지는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당시 삼일 터미널 부지를 용도폐지에서 제외했다가 2개월 만인 8월에 다시 (용도폐지)대상지로 묶으려 하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1, 2개월 전만 해도 포항시가 특혜 논란을 의식해 용도변경을 아예 고려하지도 않았는데 갑작스럽게 용도변경을 해주려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외압설' '정치적 타협설' 등의 소문이 나돌고 있는데 반드시 확인해봐야 할 문제"라고 했다.
이곳이 주거지역으로서는 포항에서 마지막 남은 노른자위 땅이라고 할 정도여서 매각에 따른 이득(500억원대)도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반면 삼일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기존 터미널 부지 매입과 조성을 위해 300억원이 들었고, 현재 터미널 조성을 위해서도 공사비를 포함해 450억원이 소요됐다는 것. 터미널 부지가 비싼 값에 매각되더라도 실질적으로 얻는 이득은 미비하다고 했다.
포항시는 도시계획시설은 한번 정해지면 특별한 이유없이 바꾸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전제한 뒤, 삼일의 경우 주변 주거지에서 민원이 많고 대체부지가 조성됐다는 점에서 특혜는 없다고 했다. 다만 도시계획 재정비 시기에 맞추지 못해 특혜로 비칠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
포항'박승혁기자 psh@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