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혁신도시는 지방 일자리 창출의 노다지

연말 대선을 앞두고 후보들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민심 또한 다양하게 표출되면서 대한민국의 바람직한 미래상과 대통령의 역할, 적임자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다.

'일자리 창출'은 금년 대선의 최대 이슈이다. 먹고사는 기초적인 수단인 일자리가 우리 사회에서 그만큼 절실하다는 것이다. 일자리는 대학 졸업생이나 젊은 층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장년층 실업, 고령사회에 따른 노인 일자리, 여성들의 일자리 등 전 계층'연령층에서 발생하는 문제다.

참여정부 시절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혁신도시 사업이 결정되었다. 2005년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 걸쳐 10개의 혁신도시(지구) 후보지가 결정, 2007년부터 본격적인 혁신도시 건설 사업이 시작되어 현재 부지조성 공사가 진행 중이다. 올해까지 완료되기로 계획된 사업이다.

그러나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공공기관의 이전은 고사하고 부지조성 공사조차 완료되지 못한 상황이다. 지금은 혁신도시 사업에 대해 다시 냉철하게 돌아볼 때다.

혁신도시는 지방이전 공공기관과 산'학'연'관의 협력을 바탕으로 최적의 혁신 여건과 수준 높은 정주 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 건설을 목표로 한다. 전국의 10개 혁신도시에는 157개의 수도권 공공기관이 이전하며 이들 이전 공공기관과 함께 연관 산하 단체나 협력업체, 기관까지 동반 이주가 이루어지면 혁신도시는 지방경제에 활력을 창출하는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지방대학의 설움도 사라지고 묻지마식 수도권 대학 지원 열풍도 사그라질 것이다. 수도권 집중의 폐해를 해소하면서 지방의 경쟁력은 배가될 것이다. 국가경쟁력도 덩달아 높아질 것이다. 일거삼득(一擧三得)이 아닐 수 없다.

후보님들께 제안하고자 한다. 혁신도시는 지방 일자리 창출의 노다지다. 이 노다지에 주목할 것을 권한다. 이 노다지를 잘만 활용하면 국민들은 환호를 지르며 무한한 애정과 지원을 아낌없이 보낼 것이다. 혁신도시의 아름다운 마무리와 성공은 지방과 대한민국의 발전을 한 차원 높일 것이다.

혁신도시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혁신도시는 새로운 것의 발굴을 위해 머리를 싸맬 필요가 없는 이미 잘 깔려 있는 훌륭한 멍석이다. 아울러 혁신도시에는 지방분권과 국가 균형발전이라는 철학과 대의(大義)까지 녹아 있어 잘만 활용하면 유권자들의 지지와 성원을 듬뿍 받아낼 수 있을 것이다. 종반으로 치닫고 있는 혁신도시 사업, 그 과실(果實)은 마지막을 잘 마무리하는 국가지도자가 최종적으로 가져갈 것이다. 전국의 10개 혁신도시(지구)가 지역성장 동력의 심장이자 녹색 일자리 창출의 샘이 될 수 있도록 대선 후보님들의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기대해본다.

이재만/전국혁신도시협의회장·대구 동구청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