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인수위 파견 공무원 60여 명…업무 주도 국장급으로 구성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7일 정부에서 파견받을 공무원 인선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가는 등 정권 출범을 준비할 인수위 업무체계의 골격을 갖췄다.

인수위는 기획재정부, 외교통상부, 국방부 등 15개 정부 부처, 위원회 등으로부터 2, 3배수의 공무원을 추천받아 이날 전문위원과 실무위원 명단을 최종 확정했다. 인수위 윤창중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에서 파견될 전문위원과 실무위원 인선이 결정된 것으로 안다. 8일 인선의 기준과 원칙을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파견 공무원은 부처별로 1~3명씩 50~60명가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처에서 파견된 16명의 전문위원 연령대는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으로, 각 부처에서 실질적으로 업무를 주도하는 국장급 인사로 구성됐다. 지역별로는 성삼제 대구시 부교육감, 정지원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관, 김태훈 문화체육관광부 국장 등 대구와 강원이 각 3명, 서울'대선'충남'전북 각 2명, 경기'부산'경남'전남이 각 1명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낙점된 인사들은 각 부처가 1순위로 추천한 인사들이 대부분"이라며, "정치권과의 친소 관계는 거의 따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과거 인수위에선 전문위원'실무위원 선발을 앞두고 공무원 사회에서 인맥'학맥 등을 앞세워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곤 했는데, 이번엔 그런 일이 거의 없었다는 평가다.

또 전문'실무위원 숫자도 과거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박 당선인이 인수위에서 새로운 정책을 만들기보다는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라고 지시하면서 인수위 규모가 '슬림화'했기 때문이다. 노무현 정부 인수위에선 전문'실무위원 수가 190명이었고, 이명박 정부에선 147명이었다. 하지만 이번엔 새누리당 파견 위원을 합쳐도 70여 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