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박근혜 인사 검증 시스템 크게 보완해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정권 인수인계를 앞두고 선보인 인사가 연일 비리 의혹에 휩싸이며 인사 검증 시스템에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원칙과 신뢰를 지키면서 깨끗하고 능력 있는 인물들로 내각을 구성하여 국민 누구나 행복한 시대를 열어줄 것이라 기대하던 뜨거운 마음들이 차갑게 식는 징후가 곳곳에서 포착된다. 정권 출범도 하기 전에 당선인의 지지율이 60%대에 머무는 것이 그를 방증한다.

당선인이 지명한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는 가장 기본적인 검증인 재산 형성 과정과 납세 그리고 두 아들의 병역면제에 걸려서 허둥대고 있다. 75세 보청기 총리라는 갑갑한 현실을 넘어 소아마비를 딛고 헌재소장까지 지낸 신화의 주인공이라는 개인사가 그래도 총리 역할을 무난히 수행하지 않을까 하던 기대도 무너지고 있다.

총리실이 뒤늦게 국민의 4대 의무에 속하는 납세와 병역면제 의혹 관련 소명 자료를 모으고, 해명 우선순위를 정한다니 과연 객관적으로 납득할 만한 인사 검증 시스템을 가동시켰는지 되묻고 싶다. 철저한 인사 검증 시스템을 거쳤는데 허점투성이인 총리 후보밖에 구하지 못했다면 당선인은 인재 발굴을 위해 더 뛰어야 하고, 귀를 더 열어야 한다.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링컨 대통령처럼 정적도 나라의 인재로 기용할 수 있는 전향적인 자세를 지녀야 한다.

설혹 검증을 거쳤는데 이런 결과가 나왔다면 인사 검증 시스템을 보완하거나 바꾸어야 한다. 국무총리 후보자를 포함한 각료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혼자 만족해서 되는 인물이 아니다. 당선인에 앞서서 국민 만족, 특히 서민 대중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단언하건대 서민층의 사랑을 받지 못할 인재를 등용해서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으로서의 앞날을 기대하기 어렵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