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정원장 "北 추가도발 가능성 높다"

안보리 대북제재 반발 차원 "핵무기화 성공 판단은 일러"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12일 제3차 핵실험 이후 추가도발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이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논의를 구실로 추가 핵실험, 이동식 대륙 간 탄도 미사일(ICBM) 발사, 핵탄두 실전배치 선언 등의 추가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원 원장은 "북한이 대북제재 논의에 대한 초점 흐리기 및 중국의 북한 비호를 유도하기 위한 차원에서 무력시위 등 도발을 자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래서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경우 핵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장거리 탄도 마시일도 갖췄지만 소형'경량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 것 같다"며 "현재로선 북한이 핵 무기화에 성공했다고 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네 가지 조건 가운데 ▷핵기술 ▷장거리 미사일은 구비했지만 ▷탄두 소형'경량화 ▷궤도체 진입 능력은 '아직'이라는 뜻이다.

원 원장은 "북한은 탄두 소형화, 경량화를 위해 노력하는 중일 뿐 원자탄을 성공시켰다는 것(북한의 발표)은 과장 광고"라며 "(북한의 핵무장에 대해) 경계를 늦춰선 안 되지만 북핵 능력에 대해 너무 과장되게 알고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원 원장은 자국민보호를 위해 개성공단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조치가 필요하지 않으냐는 지적에 대해선 "그 정도 사항은 아닌 것 같다"며 "체류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는 것 같다"고 내다봤다.

또한 대응차원에서 우리나라의 핵무장 필요성을 주장한 발언에 대해서는 "우리도 단기간에 핵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정책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원 원장은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와 제재 의지 표명에도 불구하고 제3차 핵실험을 강행한 배경으로 ▷기술적 필요성 ▷핵대국 달성이라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언 관철을 통한 내부 결속 및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지도력 과시 ▷우리 신정부와 오바마 2기에 대한 협상력 제고 등을 꼽았다.

원 원장은 "3차 핵실험 성격은 대남용은 아닌 것 같다"며 "미국에 대한 메시지가 강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측의 핵실험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아리랑 위성은 제 몫을 다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했다.

원 원장은 "오전 10시 10분께 아리랑 2호, 오후 1시 27분께 아리랑 3호가 촬영했으나, 오전은 구름 때문에 유효 영상을 확보하지 못했고 오후는 지하에서 핵실험을 해 촬영한 영상으로는 판별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