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 비대위, 5월 정기全大 개최 합의

지도부 임기 내년 1월까지로…비주류 "친노·주류 편들기"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문희상)는 오는 5월 4일 정기 전당대회를 열어 임기 2년의 새 지도부를 선출하기로 했다.

당초 민주당은 지난해 12월 대통령선거 패배 이후 당 쇄신작업을 서두르기 위해 임시 전당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계파 간 합의에 실패하면서 정기 전당대회를 통해 당의 총의를 확인하기로 했다.

그동안 전당대회준비위원회(비주류)는 오는 3월 말 또는 4월 초 임시 전당대회에서 내년 9월까지 당을 맡을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고 주장해 온 반면 정치혁신위원회(친노'주류 측)는 차기 지도부의 임기는 정기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전임 대표의 잔여임기(내년 1월)로 해야 한다고 맞서 왔다.

임시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지도부가 내년 6월 실시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천권을 쥐느냐를 두고 당내 주류와 비주류 간 신경전을 펼친 것이다.

하지만 당내 불협화음이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 발(發) 야권 정계개편 조짐이 나타나면서 민주당 비대위가 '원칙'을 선택했다.

정성호 수석 대변인은 비대위의 결정 후 "현 상황에서는 원칙대로(정기 전당대회로) 하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임시전대로 할 경우 혁신의 추동력이 안 생길 수 있으니 정기전대를 통해 당을 전면개편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비대위의 결정에 대해 당내 주류와 비주류에선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친노'주류 그룹 사이에서는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이라는 기류가 감지되는 반면 비주류 일각에서는 "사실상 친노'주류의 손을 들어준 것"이라는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조기 전대론을 주장해온 비주류 측은 전대가 5월 초로 연기되면서 대선 패배에 대한 친노'주류 책임론이 희석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차기 전당대회가 정기전당대회로 치러짐에 따라 향후 시도당 및 지역위 개편 과정에서 대의원 구성 자체가 지난 4'11 총선 당시 당권을 쥔 친노'주류 그룹에 유리한 쪽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의구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민주당은 이달 22일 당무위, 27일 중앙위 의결을 통해 전당대회 개최 시기와 방식을 결정할 예정이다. 당내에선 최종 의결기구인 중앙위에서 친노'주류 측이 수적으로 우세를 보이고 있어 비대위 결정이 뒤집히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