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다고 옛사랑이 오리요마는….'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옛 가요 '애수의 소야곡' 첫 소절이다. 운다고 떠나간 옛 사랑이 돌아오지는 않는다는 이야기다. 예전에 알던 분 중에 아이디를 '곡불급'(哭不及)이라 쓰는 이가 있었다. 영어로는 'Cry-no-help' 즉 '울어도 소용없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그게 무슨 말인지 잘 몰랐었는데 요즘 와서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 뜻이 참으로 심오하다.
거짓말 같지만 초등학교 입학식에는 부모님이 한 분도 따라오지 않으셨다. 그때는 우리집이 방앗간을 할 때라 무척 바쁘기도 했지만 누나나 형들 입학식에 몇 번 가본 경험에 다소 심드렁해진 이유도 있었던 것 같다. 그뿐 아니다. 중학교 입학식과 고등학교 졸업식을 통틀어, 심지어는 강원도에서 군대생활 할 때도 면회 한 번 안 오셨다. 그랬지만 그러려니 받아들였지 섭섭해하거나 원망을 한 적은 없었다.
중학교 3학년 때부터 부모님과 떨어져 자취생활을 했다. 모든 일은 스스로 해결했던 것이다.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었다. 덕분에 강한 자립심을 가질 수 있었다. 어른이 된 지금도 누구에게 의지를 하지 않는다. 심지어 아이들에게도 심부름을 잘 시키지 않는다. 세탁물을 찾건 아파트 앞 가게를 들르건 웬만하면 직접 한다. 그런 능동적인 습관은 긍정적이고도 적극적인 성격을 이끌어냈다. 이때문에 세상과의 싸움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고 살아 올 수 있었다.
돌이켜보면, 부모님이 거창하게 독립심을 키우겠다고 교육적 차원에서 그렇게 하신 것 같지는 않다. 5남매 중 넷째, 위치가 참 애매했다. 형제가 여럿이다 보면 아무래도 아래로 갈수록 소홀해 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 시절에 넷째는 거의 '또 하나의 가족' 정도로 여겨졌다. 부모님의 관심이 덜 미쳤다는 뜻이다. 챙겨주지 못하니 스스로 살 길을 찾아야만 했다. 그렇게 길러진 자생력이 세상살이에서는 강한 경쟁력을 발휘하게 된다. 자기도 모르게 '파이터'가 된 것이다.
요즘은 대학 오리엔테이션에도 따라가는 극성 엄마들이 있다고 한다. 이는 성인이 다 된 자녀에게 아직 젖병을 들고 따라다니는 것과 같은 일이다. 지나친 보살핌은 무관심보다 더 못할 수도 있다. 어린 아이 때는 울면서 떼를 쓰면 안 되는 게 없지만 어른이 되면 다르다. 세상살이 운다고, 징징댄다고 되는 일은 하나도 없다. 누구도 대신 해주지 않는다. 스스로 해결해야만 되는 것이다. 그걸 안다면, 평생 끝까지 따라다니며 챙겨줄 수 없다는 걸 안다면 어느 시점에서 '홀로서기'를 가르쳐야 한다. 그게 자식을 진정으로 위하는 길이다.
장삼철/삼건물류 대표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