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경제자유구역 조성 늑장…산동면의 '고통'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구미 국가산업4단지 불산가스 누출사고 피해 주민들이 또다시 술렁이고 있다. 구미경제자유구역 부지 안에 포함된 불산 가스 누출 피해 지역 주민들이 사업 추진 시기를 앞당겨달라는 요구가 묵살되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

불산가스 누출 피해 지역인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 임천리 일대 주민들은 22일 산동면에서 구미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 조기 추진을 위한 주민 토론회를 갖고, 대책위 구성과 향후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불산가스 누출 피해 수습을 위해선 피해 지역 토지가 대부분 편입되는 구미경제자유구역 조성 사업 조기 추진이 필요하지만 사고 발생 6개월이 지나도록 대책이 없어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토지거래허가 등으로 지난 7년간 편입 예상 지주 1천300여 명이 재산권 침해를 당하고 있다"며 "정부는 조성사업을 속히 시작하거나 재산권 침해에 대한 합당한 보상과 함께 사업지구 지정을 해제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정부는 지난 2008년 4월 구미시 산동면 봉산리와 임천리, 금전동 일대 470만㎡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했다. 이 일대에 1조3천40억원을 들여 디지털산업지구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 2006년에는 이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조성 사업이 차일피일 미뤄진데다 불산가스 누출사고까지 겹치며 주민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졌다. 불산가스 누출 피해 지역인 봉천리와 임천리 일대는 경제자유구역 전체 면적의 절반이 넘는 247만㎡에 이른다. 주민들은 답보 상태인 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을 조속히 추진해 토지 보상과 함께 이주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다.

시행사인 한국수자원공사는 당장 편입토지 수용 등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세우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는 "보상금 지급 등 사업 추진을 위한 자금 여력이 부족해 이른 시일 내에 사업을 시작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