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기억 속의 무수한 사진처럼 사랑도 언젠가는 추억으로 그친다는 걸 난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신만은 추억이 되질 않았습니다. 사랑을 간직한 채 떠날 수 있게 해준 당신께 고맙단 말을 남깁니다."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에 나오는 대사다. '8월의 크리스마스'라는 제목의 의미는, 여름처럼 성장해야 할 젊은 주인공이 크리스마스가 있는 겨울에 죽음을 앞두고 있음을 뜻한다고 한다. 이렇게 한창 성장해야 할 나이에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가 아는 그 아이도 그런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筋異營養症). 글자 그대로 근육에 공급되는 영양이 서서히 중단되는 것, 그래서 결국엔 호흡근도 위축돼 죽어가는 병이다.
'완엽'이란 아이가 이 병으로 재활원에서 스물한 살이라는 아주 어린 나이에 죽음을 맞이했다. 그 아이의 고통은 그 나이에 받아들이기엔 너무나 힘겨운 것이었다. 죽음을 미리 겪고 있는 사람의 고통, 그것이었다. 그 아이가 자신의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 속에서 어떤 감정의 변화가 일어나고, 무서운 풍랑이 몰아치며 그를 괴롭혔는지 짐작만 할 뿐이다. 그럼에도, 자신의 생명을 살아있는 동안 열심히 간직해야 함을 느끼게 되는 그 감정의 변화들을 누가 상상이나 할 수 있었겠는가? 볼 때마다 가슴이 시린 느낌을 주는 아이였다.
그 아이는 예정된 생의 운명처럼 고요하게 숨을 멈췄다. 그동안 자신을 보살펴준 재활원 선생들에게 일일이 마지막 인사를 하고, 편안한 얼굴로 지상의 삶을 마감했다. 그 아이의 고요하고 편안한 얼굴은 남아있는 우리에게 크고 귀한 선물이 됐다. 아픈 투정을 제대로 받아주지 못해 미안했던 마음과, 더 많은 시간을 함께 있어주지 못해 아쉬웠던 마음을 모두 용서해주는 시간이 됐다. 이제는 고통이 없는 곳에서 참 행복을 누릴 것이라 믿을 수 있게 해주는 마지막이었다.
31일은 예수님의 부활 대축일이다. 'Resurrection', 다시 산다는 의미의 이 말은 재활이란 말 속에도 그대로 들어 있다. 그래서 재활원에서 꿈꾸는 일도 다시 활력을 얻는 일이다. '완엽'이란 아이를 통해서, 그 아이가 매일 매일 그렇게 살아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고, 나 또한 그렇게 살아야 할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그 아이도 나의 삶 속에서 훌륭한 스승 중의 하나였다.
매일 매일의 삶이 사실은 부활이다. 다시 살아내는 일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일의 성공 여부는 아마도 우리 삶의 마지막 시간에 판가름날 것이다. 재활원의 그 아이처럼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사랑과 평화, 화해와 용서의 마음을 전해주고 떠나게 된다면, 훌륭하게 그 일을 완수한 셈이 될 것이다.
김상조(대건 안드레아) 신부, 구미직업재활센터 시설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