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다 바꿔' 찬반 분위기로 내홍이다. 18대 대선 패배 원인을 분석한 평가보고서가 나온 뒤 정체성 및 노선 변경, 당명과 당색(黨色) 바꾸기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당 이종걸 의원은 17일 성명서를 내고 "우려스러운 민주당 노선 변경 논의를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산하 강령'정책분과위가 15일 비공개 워크숍을 열고 당 강령과 정강 정책을 '중도주의 노선'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고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이 중대한 사안을 일체의 공개 토론이나 의견 교환 절차도 없이 몇몇 사람들이 모여 결정하고 언론에 알린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좌 편향 정책 때문에 대선에서 패했고 우클릭해야만 산다는 논리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당 대표에 출마한 강기정 후보는 "민주당의 노선과 정체성은 누가 뭐래도 진보 개혁 노선"이라고 했다.
하지만, 강령 '정책분과위 이상민 위원장은 "정당은 선거를 통해 민심을 살피고 잘못된 것이 있다면 고쳐서 국민의 여망을 받들어야 한다"며 노선 수정 논쟁의 당위성을 설파하면서 맞서고 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당을 상징하는 노란색도 바꿔야 하지 않겠느냐는 움직임이 있다. 노란색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만든 평화민주당과 새정치국민회의의 당색이자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열린우리당 상징색이었다. 하지만 '집권 10년' 이후 각종 선거에서 민주당이 석패하면서 '패배한 색깔'에 대해 불편해하는 기류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왜 바꾸려 하느냐"며 반대하는 입장이고, 친노 진영과 당 주류 일각에서도 "심판도 반성도 지금의 솔직한 민주당으로서 받아야 한다"고 성토하고 있다. 당의 체질 문제이지 포장 문제가 아니란 것이다.
한편, 민주통합당은 당명에서 '통합' 자를 뺀 '민주당'으로 당명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민주당이라는 이름이 약칭으로 보편화해 있고, 민주당의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차원이란 이유에서다. 당명 개정은 다음 달 4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