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안철수의 새 정치는 이런 것이었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상임위 배정 문제가 국민을 짜증나게 하고 있다. 안 의원의 상임위는 우여곡절 끝에 보건복지위원회로 결정됐지만 강창희 국회의장의 제동으로 다시 원점에 서게 된 것이다. 강 의장이 여야가 합의까지 한 안 의원의 보건복지위 배정에 제동을 건 이유는 국회법 위반이다. 국회법(48조 2항)은 무소속 의원의 상임위 배정은 의원 본인이나 여야 원내대표가 아니라 국회의장이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결국 법을 가장 먼저 지켜야 할 국회의원이 법을 어긴 것이다. 사소한 문제라고 할 수도 있지만 악마는 사소한 데 둥지를 트는 법이다.

사실 국회 입성 이후 상임위 배정 문제에 대해 안 의원이 보여준 태도는 상당히 실망스러웠다. 재'보궐 선거 당선자는 전임자의 상임위를 계승하는 국회 관례에 따라 노회찬 진보정의당 전 의원이 속했던 정무위원회로 가는 것이 당연했다. 그러나 안 의원은 이를 극력 피했다. 상임위 교환을 위해 다른 의원들을 상대로 상임위 교환을 수소문하거나 의사를 타진했다. 그 과정에서 상임위 교환을 거절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알다시피 안 의원이 정무위를 피하고 있는 것은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보유 중인 안랩 주식 186만 주(1천170억 원 상당)를 매각하거나 백지신탁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안랩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 안 의원의 해명이지만 그렇게 명쾌하게 와 닿지 않는다. 그보다는 자기 주식을 지키기 위해 상임위 맞교환이라는 편법을 쓰고 있다는 것이 일반 국민들의 솔직한 느낌이다.

물론 생산적인 의정 활동을 위해서는 의원 개인이 원하고 가장 잘할 수 있는 상임위를 배정받는 것이 옳다. 그러나 상임위 배정 때마다 '노른자위' 상임위로 가려는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과연 '원하는 상임위'가 '잘할 수 있는 상임위'인지는 의문이다. 상임위 배정 경쟁에 사익(私益)이 개입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안 의원의 정무위 기피는 이런 의심에서 과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안 의원은 초선이지만 민주당이 만들어지지도 않은 '안철수 신당'에 밀릴 만큼 중량급이다. 이를 가능케 한 것이 '새 정치'다. 하지만 그의 새 정치는 아직도 '말의 차원'에 머문 채 콘텐츠는 여전히 비어 있다. 그것을 어떻게 채우느냐가 안 의원의 정치적 미래를 가늠할 것이다. 안랩 주식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하면 새 정치의 콘텐츠를 아무리 풍성하게 채운다 한들 진정성은 받아들여지기 힘들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