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동안 수입차 소비 추세가 중·대형에서 소형·준중형으로 급격히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분석한 배기량별 수입차 판매 비중을 보면 2008년에는 2천∼4천㏄급 중·대형차가 전체의 65.8%를 차지했다. 2천∼3천㏄가 35.8%(2만2천91대)로 가장 많았으며 3천∼4천㏄는 30%(1만8천493대), 2천㏄ 미만은 26.2%(1만6천123대), 4천㏄ 이상은 8%(4천941대)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올 들어 4월까지 판매 동향으로 살펴보면 2천㏄ 미만이 53.5%(2만5천826대)로 1위를 차지했다. 2천∼3천㏄는 32.4%(1만5천665대), 3천∼4천㏄는 11.6%(5천592대), 4천㏄ 이상은 2.5%(1천201대)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천㏄ 미만 소형·준중형차의 약진은 최근 2∼3년 사이에 나타난 현상이다. 2010년까지만 해도 이들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32.4%에 그쳤지만 2011년에는 42.2%로 판매 비중이 10%포인트 상승했고 지난해에는 49.4%로 절반에 육박했다.
이에 대해 대구지역 수입자동차업체 관계자들은 "2011년 수입차 연간 판매량이 10만대를 넘긴 것이 대중화로 접어드는 전환점이 된 것 같다. 40대였던 수입차의 주 고객층이 30대로 내려오면서 상대적으로 작고 저렴한 차가 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수입차업계에서는 소형차 비중 확대가 앞으로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구지역 수입차업계 관계자들은 "수입차가 대중화될수록 상대적으로 싸고 작은 차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다. 이런 추세에 맞춰 수입차업계에서는 소형차의 국내 출시 비중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부터 연료별 판매 비중에서는 디젤차가 휘발유차를 앞질렀다. 2008년 휘발유차 판매 비중은 82.6%(5만917대)로 디젤차 판매 비중 16.4%(1만94대)를 압도했다. 하지만 2011년 디젤차 판매 비중이 50.9%(6만6천671대)로 올라서면서 휘발유차(44.2%·5만7천845대)를 제쳤다.
올 들어 4월까지는 격차가 더 벌어졌다. 디젤차 판매 비중은 61.1%(2만9천478대)로 휘발유차 판매 비중 35.4%(1만7천70대)를 크게 앞질렀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예전에는 디젤차 하면 시끄럽고 매연을 많이 내뿜는 차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뛰어난 연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친환경 차들이 많이 출시되면서 소비 양상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