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말 '중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중국과의 긴밀한 공조로 북한 문제를 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열린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그동안 북한의 도발 위협에 대해 일관된 기조를 유지해 왔다"며 "북한 문제를 풀기 위해 한중 간 더욱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앞으로 저는 반드시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도록 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날 언급에서는 한'중 공조를 통한 북한문제 해법에 대한 강한 자신감이 묻어나오고 있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게 된 것은 최근 중국을 방문한 북한의 최룡해 특사가 시 주석으로부터 '비핵화' 요구를 받고 과거와 달리 푸대접을 받는 과정을 확인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시 주석은 최 특사를 면담한 자리에서 "한반도 비핵화는 대세의 흐름"이라며 세 차례나 비핵화를 요구하면서 압박하자 최 특사는 마지못해 '6자회담을 통한 대화'를 제시했다.
북한에 대한 중국의 입장변화는 최 특사가 방문했던 시기와 동시에 중국을 방문한 방중의원단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방중의원단 대표인 유기준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이날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중국과 북한은 일반국가관계'라고 말하더라. 그동안 '혈맹관계'로 불리던 북중 관계에 상당한 변화가 감지됐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한반도 주변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자 6월 7, 8일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북핵문제를 풀기 위한 6자회담 재개 여부 등이 심도있게 논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청와대는 북한이 제의한 6자회담을 과거와 같은 형태의 '시간끌기용'으로 판단하고 비핵화를 전제로 하지 않는 6자회담은 의미가 없다는 입장도 견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청와대는 이번 방중을 통해 북핵문제를 넘어선 한중 간 미래관계를 담보하는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주목되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