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벌써… 내년 지방선거 준비하는 여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새누리 "패배땐 朴정부 레임덕" 민주, 공천 제도정비·영입 추진

민주당에 이어 새누리당도 내년 지방선거 체제로 돌입하는 등 여야가 지방선거 총력전에 시동을 걸었다.

1년을 앞두고 여야가 지방선거 준비 체제를 조기에 가동한 것은 박근혜정부 출범 후 첫 전국 단위 선거인데다 선거결과가 정국에 미칠 파장이 크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읽힌다. 특히 무소속 안철수 의원 측과의 전면전에도 대비해 미리 '안풍(安風)'을 차단해야 한다는 포석이 깔린 것으로 정치권은 해석하고 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5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당 사무처 월례조회에서 "4월 재'보선도 마쳤고 이제는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들어갈 때"라며 "지역에 다녀보면 전부 지방선거 얘기만 하는데 당도 이제는 지방선거를 머리와 가슴 속에 담고 분위기를 쇄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이 승리할 경우 든든한 국정 운영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만약 패배할 경우엔 정국의 주도권이 야권으로 넘어가면서 박근혜정부는 집권 2년 만에 큰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

이를 의식한 듯 홍문종 당 사무총장은 이날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지면 바로 레임덕(권력누수)이 오면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도 지장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일각에서 대선 승리 후 우리가 느슨해진 것 아닌가 걱정하는데 10월 재'보선과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잘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면서 "그러나 마음만 갖고는 안 되고 각자 최선을 다해 열심히 하겠다는 각오를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도 내년 지방선거에 사활을 걸었다. 게다가 안철수라는 제3의 세력이 등장하면서 선거에서 패배할 경우 야권 주도권은 물론 존립 기반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에 봉착한 상태다.

이에 민주당은 4일 국회에서 양승조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한 지방선거기획단 발족식을 갖고 일찌감치 지방선거 체제에 돌입했다. 민주당은 지방선거 준비를 공천룰 결정과 같은 제도정비와 인재발굴 등 '투트랙'으로 접근한다는 방침이다. 7월 전당원투표제를 통해 기초단체장'기초의원 정당공천제 유지 여부를 결정한 뒤 8월 안에 공천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당내 '상향식공천제도혁신위'를 중심으로 공천개혁의 밑바탕이 될 상향식 공천 안을 마련, 이 역시 전당원투표제로 당의 입장을 확정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 제도부터 조기에 결정, 특정 계파의 입김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출마 대상자의 준비기간을 늘려 내실을 기하겠다는 전략이다.

민주당은 또 인재영입위와 호흡을 맞춰 역량 있는 '정치 신인' 발굴에 주력하기로 했다. '새 피 수혈'만이 안철수 의원 측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