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먼 파워' 전성시대다. 사회 곳곳에서 여성 진출과 비율이 늘고, 고위직에 중용되거나 승진하는 등 여성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 안전행정부의 '공무원 인사 통계'에 따르면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헌법 기관의 여성 공무원은 지난해 말 현재 전체 공무원(99만4천291명)의 42.7%인 42만4천757명에 이르렀고, 2년 뒤에는 중앙 정부에서 일하는 여성 공무원 수가 남성 공무원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지역에선 이영미(53) 씨가 여성 법원공무원으로는 처음으로 부이사관으로 승진했고, 이영옥(54) 씨는 대구 동구청 첫 여성국장(지방서기관)으로 이름을 올렸다.
대구경북에서 법원공무원 첫 여성 부이사관(3급)이 탄생했다.
주인공은 지난달 28일 대구가정법원에서 총무과장 이임식을 한 이영미(53'사진) 부이사관으로 1일 대법원에서 임명장을 받은 뒤 2일부터 부산지법 동부지원에서 사무국장으로 1년간 근무하게 된다.
지금까지 전국 5곳의 고등법원 관할지 중 유일하게 대구만 여성 부이사관이 없다가 이번에 이 과장이 대구 1호 여성 부이사관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여성 부이사관은 현재 서울 2명, 부산, 광주, 대전 등에 각 한 명씩 있다. 대구의 경우도 전체 법원공무원 중 여성 비율이 30%가 넘는 것을 감안할 때 '여성 부이사관 탄생'이 뒤늦은 감이 있다는 게 법조계의 얘기다.
대구 토박이인 이 부이사관은 1999년 사무관, 2006년 서기관으로 승진한 뒤 올해 부이사관에까지 오른 대구 여성 법원공무원의 맏언니로 민사합의과, 민사합의신청과, 집행과, 등기과, 종합민원실, 가정법원까지 거의 모든 부서를 두루 섭렵했다.
부산에서 1년 근무한 뒤 다시 대구로 돌아오는 데, 이 부이사관이 갈 수 있는 보직은 대구고등법원 및 지방법원, 가정법원, 서부지원 등 4곳의 사무국장이다.
이 부이사관은 "많이 부족하지만 열심히 하다 보니 좋은 결과가 나타난 것 같다. 서기관 선배들이 있었기 때문에 큰 기대는 안 했는데 대구에만 유일하게 여성 부이사관이 없었던 것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며 "너무 먼 길을 걸어온 것 같고, 높은 벽을 넘은 것 같아 가슴 벅차고 설렌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직원이 행복하고 일하기 좋은 직장을 만들자'라는 신조대로 앞으로도 직원들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고 했다.
이 부이사관은 여성 후배들을 위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그는 "남자든 여자든 다 열심히 해야 하지만 여성의 경우 좀 더 열심히 해야지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게 현실"이라며 "어려운 보직을 피하거나 '나는 여자니까' 하는 생각을 하지 말고 조직을 위해 열심히 일하면 인정받을 수 있다. 나도 여러 보직 두루 경험했기 때문에 지금 이 자리에도 올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충고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