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확장과정에서 동맥역할을 했던 철도가 오히려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어 대책이 아쉽다.
최근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중앙선 충북 단양 도담~영천 간 복선 전철 노선 기본계획안에 영주시가지를 동서남북으로 삼등분한 현재 노선에다 교각을 세우는 방식을 추진하자, 환경단체와 지역민들은 심하게 반발(본지 4월 19일 자 5면, 4월 25일 자 6면 보도)하고 있다.
◆도시 외곽이전 외면
서울 청량리에서 경주를 잇는 중앙선 철도는 1942년에 개통된 단선철도로 우리나라 5대 간선철도 중 하나다. 복선전철화 사업이 완료되면 3시간 이상 걸리던 청량리~영주 간 운행시간이 1시간대로 단축돼 물류비용이 절감되고 수도권과 중부내륙지역 및 동해권에 산업벨트가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복선전철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영주시가지를 관통하는 중앙선 철도의 이전을 외면하고 기존 노선에 교각을 세워 고가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주민들의 반발이 심하다. 또 시민들의 젓줄인 상수도 수원지를 통과하는 노선을 계획, 고가화를 추진하고 있다.
◆도심 단절 낙후 초래
영주 시가지를 남북과 동서로 삼등분한 중앙선'영동선 철도에는 하루 50여 회(편도 여객 20회, 화물 30회) 열차가 운행되면서 소음과 진동피해, 고가차도, 지하차도 설치로 인한 교통단절과 정체 발생 등 생활환경 피해를 낳고 있다.
또 도시기능 단절로 인해 동서남북 간 연계 발전 저해, 철도변 낙후 등 도시기능에도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고가화 반대 집회
문제가 불거지자 지역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최근 환경단체와 지역민들로 구성된 철도 복선지상화 결사반대 추진위원회(위원장 송준기)가 구성돼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중앙선 고속철로 시가지역 고가화 반대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송준기 위원장은 "중앙선과 영동선이 시가지 중앙을 관통하고 있어 시민생활과 재산권 행사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며 "도심지 관통 철로를 지하화하든지 철도를 이설하라"고 촉구했다.
◆역사이전 못하나
중앙선 복선전철화를 추진하면서 시가지를 관통하는 강원도 원주역과 안동역사는 이전한다. 하지만 영주역사는 그대로 둔 채 철도 노선만 고속화하는 방안만 검토하고 있어 철도로 인한 지역 낙후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영주역사를 이전할 경우 안정역에서 영주댐이 들어서는 곳까지 철도 직선 연결과 역사 도시 외곽이전이 가능해 지역 발전은 물론 도시기능 단절로 인한 낙후는 면할 수 있을 것이다.
◆수도권은 지하화 추진
수도권지역은 도심통과 철도를 지하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서울 용산'동작'영등포'구로'금천구'경기 안양'군포시 등 경부선 철로가 통과하는 수도권 7개 자치단체는 지난달 26일 안양에서 서울역~당정역구간 지하화 기본구상 용역에 착수하는 등 18개 역사 32㎞에 이르는 구간을 지화화하는데 첫발을 내디뎠다.
하지만 지방 철도 복선화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역사 이전과 노선 지하화 등에는 소극적이다.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