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 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낙제점'

창조경제시대를 맞아 벤처기업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지만 경쟁력은 세계 최고대비 67점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벤처인증기업 315개 사를 대상으로 '창조경제시대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동종업계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벤처기업이 가진 경쟁력을 100으로 봤을 때 귀사의 경쟁력은 얼마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평균 67.3점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세부 항목별로는 품질'디자인이 71.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격과 기술경쟁력 분야가 각각 69.8점, 66.2점, 조직관리'마케팅은 최하점인 61.9점을 기록했다.

현재 세계 최고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벤처기업으로는 구글, 페이스북, 클리어와이어(정보통신'IT 분야), 테슬라모터스(자동차 분야), 캐스트라이트헬스(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등이 손꼽히고 있다.

벤처 기업인들은 현재의 경영여건을 벤처붐이 일었던 2000년대 초반보다 열악해졌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최근 경영환경이 어떤지를 묻는 질문에 '나빠졌다'(35.9%)는 응답이 '좋아졌다'(7.3%)는 답변보다 많았다. '비슷하다'는 56.8%였다.

경영환경 악화의 이유로는'엔젤투자 등 벤처투자 감소'(29.2%)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대외경제여건 악화'(23.1%), '경쟁과열 등 창업기회 감소'(21.2%), '이공계 기피현상으로 인한 인재풀 축소'(17.7%), '기업인들의 도전정신 약화'(8.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벤처기업 성장에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로 '획기적인 아이디어 및 기술력'(34.9%)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사업자금의 안정적 확보'(28.3%), '적절한 사업 기회 및 시장 포착'(24.8%), '정책지원과 사회적 관심'(8.5%) 등의 답변도 있었다.

벤처기업 경영에 있어서 가장 큰 애로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기업들이 '투자자 유치 등 자금조달'(41.3%)을 꼽았고, 이어 '인력확보'(33.0%), '판로개척'(15.2%), '기술확보'(10.2%) 등을 차례로 꼽았다.

자금확보 방안에 대해서는 절반을 넘는 기업들이 '금융권 융자'(54.9%)를 활용한다고 답했다. 이어 '정책자금 활용'(18.4%), '외부투자 유치'(10.5%), '회사채 발행'(7.6%), '경영진 사재 출연'(5.7%)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