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동안전지킴이집 관리 부실…위치 모르고 경찰 교육도...

경찰이 위험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초등학교 인근 상가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는 아동안전지킴이집이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경찰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금까지 대구지역에 지정된 아동안전지킴이집은 총 1천2곳이다. 대부분 초등학교 주변 상가와 학원 등이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지정돼 있다. 하지만 경찰은 지정만 해 놓고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대구 북구 동천동의 한 슈퍼마켓은 근처에 초등학교가 있어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선정됐다. 이 슈퍼마켓 주인 이모(55'여'대구 북구 동천동) 씨는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선정된 뒤 긴급하게 찾아온 경우는 대부분 휴대전화를 놓고 온 아이들이 급하게 전화를 하러 오거나, 길을 가다가 넘어져 난 상처에 반창고를 발라주는 정도였다"면서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선정됐을 때 받은 구급약이 다 떨어져 경찰에 더 달라고 부탁했지만 아직 소식이 없다"고 말했다.

대구 북구 읍내동의 한 초등학교와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는 아파트 상가 입구에는 아동안전지킴이집 표시가 붙어 있는 표지물이 출입구 안쪽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이 표지물이 가리키는 아동안전지킴이집이 어딘지를 아는 사람은 없었다. 이 아파트 상가에 있는 한 가게 주인은 "출입구에 그런 게 있었는지 몰랐다"며 "근처 미술학원 건가"라고 되물었다. 확인한 결과 이곳은 아동안전지킴이집 지정이 해제된 곳이었다.

아동안전지킴이집에 대한 교육 또한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구 북구 읍내동의 한 초등학교 앞에서 만난 김모(10'대구 북구 읍내동) 군은 "'아동안전지킴이집' 표시는 봤는데 뭐 하는 곳인지는 잘 모른다"며 "학교에서도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해당 학교의 교사는 "학교 정문에 있는 배움터지킴이실을 말하는 것인가"라고 기자에게 되묻기도 했다. 기자가 아동안전지킴이집에 대해 다시 설명하자 이 교사는 "학기 초에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아동안전지킴이집을 홍보했고 담임교사를 통해 위치 등을 교육하고 있다"며 "아마 그 학생이 들었는데 기억이 안 났거나 기자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뒤늦게 아동안전지킴이집 운영에 대한 보강계획을 세우고 있다. 대구경찰청은 5일까지 각 경찰서와 지구대를 중심으로 아동안전지킴이집에 대해 점검을 하고 있다. 경찰은 이 기간에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지정된 업소의 업주들을 대상으로 아동안전지킴이집 운영에 대한 건의사항도 듣고 앞으로 운영에 반영할 계획이다.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앞으로 현장에서 건의사항을 듣고 아동안전수호천사, 배움터지킴이 등 성격이 비슷한 아동보호활동 참가자들과 연계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화섭기자 lhsskf@msnet.co.kr

◆키워드

아동안전지킴이집=위험에 처한 아동들을 임시로 보호하고 경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 곳이다. 대개 학교 주변'통학로'공원 주변의 문구점, 편의점, 약국 등이 지정대상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