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모노레일 방식으로 운행되는 대구도시철도 3호선을 두고 대구시와 시민단체가 안전을 화두로 격렬하게 대치하고 있다. 양쪽 다 안전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 해법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상황. 가장 첨예한 대척점은 '사람을 얼마나 활용하느냐'이다. 시민단체는 안전을 위해 유인(有人)운전과 인력 충원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반면 대구시는 사고 발생 원인의 절반이 사람이 저지른 오류라며 무인(無人)운전이 오히려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대구도시철도 3호선 개통을 1년가량 앞두고 대구 시민들로서는 안전에 대한 의구심과 불안을 떨쳐버리기 어렵다.
(1)기관사 없는 무인운행 안전한가?
대구시는 무인운전의 안전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또 기존 도시철도 1'2호선 기관사의 역할도 사실상 출입문 개폐 정도에 그친다고 보고 있다. 3호선 전동차 구조를 두고 운전석이 아예 없다고 홍보할 정도였다.
그러나 3호선 전동차에는 비상 상황에서 운행할 수 있도록 운전석이 마련돼 있다. 2일 있은 3호선 차량 공개 행사에서 김범일 대구시장은 "무인운전은 김해-부산 구간이나 의정부에서도 하고 있다. 그래도 (우리는) 아픈 기억이 있기 때문에 필요 없지만, (기관사 자격이 있는) 안전요원을 탑승시킨다"며 안전을 확신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시각은 판이하다. 무인운행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건물의 비상문 역할을 하는 비상대피시설이 3호선에 아예 없는 마당에 무인운전까지 밀어붙인다면 안전은 안중에 없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특히 모노레일은 지상 11m 높이에서 궤도빔을 타고 운행되기에 비상시 승객 임의로 출입문을 열 수 없도록 해야 해 기관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 의정부를 비롯해 경전철의 출입문 개폐 오작동 사례가 적잖은 만큼 기관사 배치를 강하게 주문하고 있다.
전기가 끊겼을 경우 후속 열차나 인접 열차의 구원운전이 필수인데 전동차 내부에서 승객을 안내할 수 있는 전문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는 대구시나 시민단체 사이에 이견이 없다.
(2)인력 운용, 문제없나
대구시의 도시철도 3호선 운영계획에 따르면 총 30개 역사에는 고정 역무원이 없다. 다만 거점역 5곳을 정해 역무원 6명이 2인 1조로 나머지 역 5곳을 순회하는 방식이다. 6개 구간으로 나뉘는 것으로 1~6번 역을 관리하는 순회 역무원 3개조가 1~6번 역을 계속 둘러본다는 것이다.
만일 급한 일이 생기면 중앙관제센터가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용객이 승차권을 발매하는 데 문제가 생겼다면 중앙관제센터와 이용객이 통화한 뒤 순회 역무원이 문제 발생 장소로 이동하는 식이다. 기존 1'2호선의 경우 모든 역에 역무원들이 있어 즉각 조치할 수 있는 것에 비하면 상당한 시간이 지체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 다른 문제는 중앙관제센터 근무 인원이다. 중앙관제센터에는 동시간대에 총 9명이 근무한다. 전력 관제 2명, 고객 관제 4명, 운영 관제 3명이다. 전동차 운행 시간 내내 각 역과 주변 엘리베이터, 그리고 전동차 안에 설치된 CCTV를 살피게 된다. 하지만 1개 역에 설치되는 CCTV가 최소 6대(엘리베이터 2대, 역사 내 4대)라면 30개 역사의 CCTV만 180대다. 여기에 동시에 궤도빔을 달리게 되는 전동차가 16편성으로 48개의 CCTV가 달려 있다. 200대가 넘는 CCTV를 고객 관제 직원이 8시간 이상 관제센터에 앉아 제어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시민단체 측에서 "누군가가 역사 내에서 넘어졌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에 대해 집요하게 따져 묻는 이유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