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중앙선 철도 영주 도심 고가화 문제 있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 과정에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유독 영주 시가지 구간만 기존 노선에다 교각을 세우는 방식을 추진하자 논란이다. 영주 시민과 지역 환경단체는 도심을 관통하는 철도로 인해 지역 발전이 저해되고 시민 불편이 큰데도 공단이 예산 부족을 이유로 영주 도심 구간만 기존 노선에다 고가화 방침을 고수하자 반발하는 것이다. 이는 지역 간 형평성에도 어긋나고 아예 지방을 무시하는 처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개통된 지 70년이 넘은 중앙선과 영동선이 영주 도심을 남북-동서로 가로지른다. 하루 50여 회 열차가 운행되면서 소음과 교통 정체 등 생활 피해는 물론 도시 기능 단절로 지역 발전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영주 시민들이 오랫동안 이 같은 불편과 불이익을 감내해 왔고 노선 이설이 숙원 사업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사업 추진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특히 철도의 고가화는 환경 피해와 불편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점에서 계획 수정은 불가피한 일이다.

철도 사업은 한 번 진행되면 단기간에 쉽사리 바꿀 수 없는 중대한 국책 사업이다. 기본 계획 수립 과정에서 여론을 적극 수렴해 원주나 안동 구간처럼 노선을 외곽으로 우회시키거나 지하화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 경부선이 지나는 수도권 7개 지자체의 도심 구간 32㎞는 모두 지하화를 추진하면서 중앙선 영주 구간만 예산을 핑계로 기존 노선에다 고가화를 고집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소리다.

무엇보다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이 적극 나서서 정부나 관계 기관에 지역 실정을 알리고 계획 단계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야 한다. 운행 시간 단축과 물류 비용 절감 등 복선 전철화 사업의 취지에 걸맞게 올바른 방향으로 일이 추진되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