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대기업 투자 유치 실패 책임을 두고 물밑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모 대기업의 태양전지 공장을 지역에 유치하려 노력했지만 공장 입지가 외국으로 선정되면서 책임론을 두고 묘한 갈등을 빚고 있는 것.
대구시 투자유치단은 2년 전부터 달성군 국가산업단지 일대에 대기업을 유치하고자 물밑 작업을 벌여왔다. 그러다 한 대기업이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부각된 '태양광 박막전지 생산라인'을 설립하고자 적지를 물색한다는 것을 알고 올 초 지역 A국회의원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하지만 A의원은 해당 기업이 외국의 한 도시로 입지를 선정했다는 소식을 듣고선 사실상 발을 뺐다.
이와 관련, 해당 의원은 "입지가 다른 도시로 기울어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대구시와 함께 계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A의원실 관계자는 "해당 기업이 '대구시로부터 입지 혜택이나 조건 등을 제안받은 적이 없어서 후보군에서 사실상 제외했다'고 알려왔다"며 "시가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데 뒤늦게 정치권에서 나선다고 되겠느냐"고 했다. 시가 어물쩍거리다 위기 상황에 닥치자 그제야 정치권에 손을 벌리는 행태가 문제라는 것이다.
시는 이를 B의원에게 다시 요청했다. 하지만 사실상 후보지에서 제외된 마당이고 적기를 놓쳤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지역의 다른 의원들은 이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정치권 인사는 "16개 시'도 중 유일하게 대기업 하나 없는 대구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19대 국회 출범 직후 12명의 지역 의원들이 손을 맞잡고 모든 인맥 등을 동원해 대기업 유치에 올인하자고 다짐했는데 모두 공염불로 판명났다"고 꼬집었다.
시 행정에 대한 불만도 잇따르고 있다. 대구시 투자유치단 관계자는 "지난달 당정간담회에서 지역 의원들에게 대기업이 추진 중인 사업 50여 개를 전달한 뒤 협조를 요청했다"고 했지만, 이종진 의원(달성)은 "지역구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큰 사업임에도 따로 보고받은 바가 없다"고 했다. 한 의원실 관계자는 "아무리 협조가 필요한 사업이라도 '줄줄이 사탕' 같은 현안 보고만 해놓고 일이 잘못되면 정치권 탓을 하는 것은 문제"라고 털어놨다.
이지현기자everyda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