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항공기 샌프란시스코 착륙사고와 관련, 이번 사고의 조사 주체인 미국 연방 항공안전위원회(NTSB) 데버러 허스먼 위원장은 7일 브리핑에서 "기장이 활주로 충돌 직전 재상승을 시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2시간 분량의 조종석 녹음 기록을 일부 분석한 결과 기장이 충돌 1.5초 전에 착륙을 포기하고 다시 기수를 상승시키려 했다는 것.
허스먼 위원장은 사고 직전 여객기가 "너무 낮은 고도에서 느린 속도로 활주로에 접근해 충돌 7초 전에 적절한 속도로 높이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사고가 날 때까지 기장과 부기장의 대화에서는 속도나 활주로 접근 각도 등에서 어떤 이상 징후도 없었으며 엔진, 바퀴 등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사고 당시 자동 착륙유도장치인 '글라이드 슬로프'(glide slope)가 꺼져 있었던 것으로 확인돼 공항 관제 시스템 미비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이 장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조종사는 시각에 의존해 착륙해야 한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