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시철도 3호선의 안전을 화두로 각계가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인력 운용을 두고 대구시와 시민단체의 구상이 다소 엇갈리고 있다. 안전요원 배치 등 안전 담보 인력 확보에 공통된 의견을 내고 있지만 배치 방법과 인원수 등 각론에서는 시각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유인(有人)운영과 무인(無人)운영의 차이에 따른 인원 차이로 풀이된다. 대구시의 경우 무인운전의 안전성을 신봉하고 있지만 시민단체는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운전방식에 따른 인력 배치
대구시와 시민단체 간 시각차가 가장 극명한 대목은 운전 방식에 따른 인력 배치다. 서로가 안전을 명분으로 무인운전과 유인운전을 이야기하고 있다. 무인운전을 기정사실화하고 재고의 여지가 없다는 대구시의 완강한 입장에 대해 시민단체 역시 안전요원 확보와 별개로 유인운전 목소리를 내며 맞서고 있다.
무인운전으로 운행 방식이 확정될 경우에도 안전요원 숫자에 시각차가 있다. 대구시가 계획하고 있는 안전요원 총 숫자는 75명. 전동차 1편성(전동차 3량)에 1명의 안전요원을 배치하면 안전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시민단체는 15명 더 많은 90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90명도 안전 담보를 위한 최소 인원이라는 게 시민단체의 견해다. 시민단체의 주장은 근로여건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들에 따르면 편도 운행에 걸리는 시간이 50분이고 하루 편도 운행 횟수가 312회라면 감시'감독 업무를 전담하게 되는 안전요원의 피로도가 높아져 오히려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3호선 안전 확보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 측은 "하루 18시간씩 전동차가 운행되는데 75명으로는 피로도가 커진다. 최소 인원이 90명이라는 판단"이라며 "하지만 가장 안전하게 전동차를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은 유인운전"이라고 밝혔다. 유인운전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시민단체 입장에서 인력 운용을 재구성하더라도 기관사가 안전요원의 임무를 맡게 되기에 인력 확보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구시는 '무인운행의 안전성이 입증됐음에도 대구시가 안전요원을 배치하려는 것은 안전 제일주의'라는 시민들의 바람을 담은 것이란 설명이다. 대구시는 "K-AGT 방식으로 운영되는 부산 경전철만 초기 시스템 불안으로 안전요원을 태웠다. 그러나 6개월 만에 모두 철수시켰다"며 "전국적으로도 안전요원을 배치하는 곳은 대구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역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역사 운영에 대한 시각차도 만만찮다. 대구시는 무인운영을 기본으로 역 순회 근무 방식을 택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시민단체는 고정 배치 방식이 안전과 서비스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이라 맞서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역사 운용 인력은 총 118명이 필요하다고 한다. 역무, 시설물 점검(전기'기계'신호'통신'전자) 업무를 통합 운영하면 되기 때문에 인원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1개 역사에 역무원 1명이 고정 근무하면서 2교대 근무를 하는 방식이다. 1명은 휴무다. 즉 1개 역사에 3명이 배치되는 셈이다. 이럴 경우 총 90명이 필요하지만 역 관리 운영에 16명이 더 필요하다. 환승역 부가 배치 등을 감안하면 총 118명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이 같은 안의 전제는 무인 시스템의 안정이다. 개찰구에서 오류 발생이 적어야 하고, 엘리베이터 등 역사 내 시설물의 잦은 고장으로 이용객이 불편을 겪는 일이 드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대구시의 이상적 현실 인식'이라고 꼬집는다. 시민단체는 도시철도 1'2호선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불만이 적은 이유로 모든 역에 고정 역무원이 배치돼 있다는 점을 꼽는다. 1개의 역에 최소 3명이 일을 하고 있기에 즉시 대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3호선 역시 최소 1인 유인역사 형태 운영은 물론 각종 시설물 점검 관련 기술 인력과 승객 안전'서비스 담당 역무 인력을 분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는 총 135명의 역사 운영 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역시 최소로 책정한 인원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안전이 확보됐기 때문에 도시철도 1'2호선 역시 역무원들의 역할 비중이 낮아지는 추세라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3호선 역시 무인운행이 안정화될 경우 인력 재배치를 공언하고 있다. 5년간 무인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사고 우려가 어느 정도 숙진다면 인원을 재배치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감사원 감사보고서에서도 언급된 바 있다. 대구시가 도시철도 3호선을 모노레일로 결정한 이유 중 하나가 무인운영이었다는 것이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