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한옥 보존, 대구시가 나서라

대구의 한옥이 개발도 보존도 아닌 채로 방치돼 있다. 도심인 중구의 한옥 가운데 개발된 곳은 다가구 주택이 들어서거나 신축 백화점 주차장 건물이 됐다. 일부는 경기 침체로 철거만 한 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흉물로 남았다. 도심과 가까운 남구 이천동의 한옥 밀집 지역은 재건축 지구로 지정돼 개발만 기다리는 중이다. 보존해 문화관광 자원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한 한옥이 사라지는 것이다.

대구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는 한옥 활용에 소극적이다. 대구시는 한옥의 현황 파악도 않고 있으니 보존이나 활용 대책도 당연히 없다. 그나마 중구는 근대골목 활성화를 계기로 동산동의 구암서원을 한옥 체험 공간으로 만들어 호평을 받았다. 중구청은 구암서원 일대 좁은 골목길로 연결된 70여 채의 한옥을 활용할 방안을 찾고 있지만, 지주와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땅값이 비싸 독자적인 개발은 엄두도 못 낸다.

한옥은 지자체가 사들여 전통문화 콘텐츠로 활용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열악한 재정을 고려하면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지주는 언제든지 팔려는 성향이 강해 이에 상응하는 대가 없이 보존을 요구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접점은 결국 지자체가 나서는 것이다. 서울이 대표적인 예다. 서울시는 2001년부터 한옥 등록제를 시행해 유지 관리 비용을 지원하고, 2018년까지 3천700억 원을 들여 4천500동을 보전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대구시는 가치 있는 한옥의 관리 비용을 지원해 장기 보존할 방안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정부의 지원을 끌어내는 것도 한 방법이다. 특히 한옥 밀집 지역은 인근의 여러 문화 콘텐츠와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첨단 공연장과 골목 투어, 한옥 체험 등으로 대구의 도심을 현대와 과거가 함께하는 문화 도심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개발 계획을 세워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