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모션인식 장갑 이용 뇌졸중·치매환자 재활시스템 첫 개발

김영근 대구보건대 교수-한영 시제품 개발

김영근 교수가 자신이 개발한 모션인식장갑을 착용하고 가상현실 재활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김영근 교수가 자신이 개발한 모션인식장갑을 착용하고 가상현실 재활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뇌졸중 및 치매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재활시스템이 산학협력으로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김영근 교수와 ㈜한영(대표이사 우영제)은 20개의 재활 컨텐츠, 20개 모션인식장비 등으로 구성된 재활훈련시스템(제품명 '브래하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노인성 질환자의 재활에는 뇌를 많이 쓰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에 중점을 뒀다.

모션인식장갑을 착용한 환자가 컴퓨터에 구현된 가상 상황을 그대로 따라하도록 한 것. 환자는 가상현실 컴퓨터 화면을 통해 다리를 움직여 횡단보도를 건너고, 손을 움직여 공을 터트리는 등 20개의 컨텐츠를 이용해 재활훈련을 한다. 20개 컨텐츠는 낙상 방지 균형훈련, 팔운동, 일상생활활동, 운동조절훈련, 인지훈련 등으로 구성돼 있다.

중소기업청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 과제인 이 제품은 지난 5월 서울과 대구에서 열린 국제의료기기박람회에 선보이며 관계자들과 바이어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특허등록 1건과 출원 1건을 획득했다. 임상실험결과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냈다.

개발자인 김 교수는 이 제품이 외국산(5천만원)에 비해 1천만원으로 저렴하고 컨텐츠와 성능이 뛰어나서 수입대체효과와 역수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다.

김 교수와 ㈜한영은 올해 10월까지 컨텐츠를 추가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대규모 임상실험을 거쳐 연말부터 본격판매에 나설 방침이다.

김영근 교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훈련시스템을 국내에서 처음 개발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며 "노인성 질환의 재활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