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귀태 발언' 대치정국 주말에 풀릴까?

민주당 홍익표 의원의 '귀태(鬼胎'태어나지 않았어야 할 사람) 발언으로 정국이 마비됐다. 12일 오후 민주당은 여권의 전방위적 공세에 태도를 바꿔 홍 의원이 발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원내대변인직을 내놨고, 김한길 대표도 유감을 표명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여전히 유보적인 입장이어서 급랭정국이 해소되고 국회가 정상화될 수 있을지는 주말을 지나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기수습 나선 민주당

홍 의원은 이날 저녁 7시 30분쯤 기자회견을 열어 "일부 부적절한 발언에 대해 사과하며 책임감을 느끼고 원내대변인직을 사임하겠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어제 발언은 더 신중했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국정원 국정조사 등 국회 일정이 정상화되길 바란다"고 김한길 대표의 말을 대신 전했다.

이날 오후까지만 해도 민주당은 의사일정을 전면중단하겠다고 한 새누리당을 향해 '국정원 국조 물타기'나 '꼬투리 잡기'라는 반응이었다. 전날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 파문이 계속 일자 당직 사퇴의 뜻을 밝힌 홍 의원에게 김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 등 지도부는 일단 사퇴를 만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 수석대변인은 "홍 의원의 신속한 유감 표명에도 새누리당이 국회 일정을 '보이콧'하는 것은 무책임한 자세다"며 비판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대화록 예비 열람에 불참한 것을 두고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대화록 공개 결정이 어려운 것이었음에도 새누리당이 근거 없는 이유를 대며 일방적으로 일정을 취소해 유감"이라고 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이날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이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을 부정하는 발언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정면도전이며 대선불복"이라고 하자 상황이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새누리당의 '보이콧'으로 국정이 파행된 데 민주당이 빌미를 제공했다는 비판과 당내에서도 '너무 심했다'는 우려가 제기돼 불가피한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공'은 새누리당에

새누리당은 12일 종일 맹공을 퍼부으며 주도권 잡기에 나섰다. 이날 긴급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예비 열람 일정 등 상임위 활동을 취소하고 오후 국회의원 품위 훼손 등을 이유로 홍 의원을 국회 윤리특위에 제소했다.

하지만 민주당 측의 조기 수습으로 국회 정상화의 '공'은 새누리당으로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일단 이날 사과의 진정성 문제를 논하며 민주당의 공식적인 입장에 대해 유보적인 반응을 보였다. 홍 의원의 사퇴와 김 대표의 유감 표명 직후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민주당의 사과는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그 판단은 내일(13일) 당 지도부에서 논의하겠다"고 밝혀 주말이 국회 정상화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사태가 장기화되면 '막말정국'을 정쟁에 이용한다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13일로 활동이 끝나는 공공의료 국조특위는 당 지도부의 결정에 따라 정상화 여부가 갈린다.

뇌관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사퇴한 홍 의원이 '대선불복'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것이 뒤늦게 알려졌기 때문이다. 홍 의원은 지난 4월 22일 트위터에 "18대 대선 결과는 무효다. '부전여전', 아버지는 군대를 이용해, 딸은 국정원과 경찰을 이용해 대통령직을 도둑질했다"는 글을 올린 것으로 드러나 새누리당이 어떤 결정을 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지현기자everyda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