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대 목디스크 급증 "스마트폰 사용…경추간판 변성을 앞당겨"

20대 목디스크가 급증하고 있다.

14일 건강보험공단의 진료 통계에 따르면 목디스크 환자는 2007년 57만3천912명에서 2011년 78만4천131만명으로 4년동안 연평균 8.1%씩 늘었다.

연령별로는 20대 환자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07~2011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 증가율은 20대 남성에서 연평균 7.7%로 가장 높았고, 20대 여성도 7.6%에 달했다.

고령층인 80대이상 여성(6.9%)·남성(6.4%), 70대 여성(6.3%)·남성(4.8%)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2011년 한해만 따져도 전년대비 연령대별 증가율에서 20대(14.5%)가 1위를 차지했고, 역시 젊은층인 20대미만(13.3%)과 30대(12.7%)가 2~3위로 뒤를 이었다.

환자를 성별로 나눠보면 2011년 기준 여성 환자(45만3천40명)가 남성(33만1천91명)의 1.4배였다.

목디스크 환자 증가와 더불어 관련 진료비도 2007년 1천150억원에서 2011년에는 1.6배인 1천866억원으로 증가했다.

장호열 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는 "장시간 고개를 숙여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경추간판에 무리를 줘 결국 목디스크의 원인이 되고, 특히 걸을 때 무게가 수직으로 더해지는 상황에서 목을 숙이고 스마트폰을 보면 경추간판 변성을 앞당긴다"고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20대 목디스크 환자의 증가율이 높은데는 스마트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목디스크는 목뼈 사이의 추간판(디스크)에서 내부의 수핵이 빠져 나와 신경 또는 척수를 누르는 병이다.

20대 목디스크 급증에 따른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귀와 어깨선이 일치하도록 자세를 바로잡아 목뼈에 무리를 주지 않고, 목 운동을 통해 근육·관절·인대의 긴장을 풀어줘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한편 20대 목디스크 급증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20대 목디스크 급증 이유 딱 봐도 알 것 같다" "이제 앞으로 조심해야겠네" "지하철 보면 전부 스마트폰 고개숙여 사용하던데" "20대 목디스크 급증 했다니 섬뜩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