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행복한가요] 지자체 행복 리더십 평가…울릉군

환경 보존·주민 건강 향상 노력 돋보여…주민 참여 장치 부족

울릉군 도동항게이트웨이가 완공되면 도동항 일대 교통혼잡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울릉군 제공
울릉군 도동항게이트웨이가 완공되면 도동항 일대 교통혼잡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울릉군 제공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지만 경제'인구와 환경 분야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경제'인구 분야

취업자 수는 2011년 6천200명에서 2012년 5천900명으로 감소했다. 인구 수도 2011년 1만742명에서 2013년 현재 1만680명으로 줄어들었다. 부자 만들기 사업인 현포1리 특산물 판매장 신축, 향토산업 육성 차원에서 섬백리향 클러스터 사업 추진, 농수산 식품가공 산업인 막걸리 가공공장 건립, 향토차 육성 등을 시행했다. 사회적기업 운영 실적이 좋다는 평가도 나왔다. 김규원 위원은 "울릉도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는 산업인 지역 특산품 가공 산업을 더 육성해야 한다"고 했다.

◆정치'행정 분야

사회인단체 및 어업인 대표 20인으로 구성된 '여객선 대책 추진위원회'를 발족시켜 여객선 관련 기관을 직접 방문해 주민 편의를 확충했고, 각 분야에서 혁신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 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발전협의회'를 구성해 지역의 특성 있는 발전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사항을 협의 조정했다. 위원회 여성 참여 비율은 13.7%였고, 사회적 약자의 참여 비율은 0.1%였다. 최병덕 위원은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고, 여성과 사회적 약자들의 위원회 참여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문화'교육 분야

공인 규격의 공설운동장을 서면 태하리에 2012년 완공해 운영 중이다. 북면 천부리에는 국민체육센터를 올해 준공할 계획. 농어촌 여성들을 위해 찾아가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주민 역량 강화를 위해 저소득층 및 한부모가정 자녀 대학 입학금 지원, 지역아동센터 지원, 방과 후 교육 지원 사업 등을 펼쳤다. 이재명 위원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함께하는 문화 콘텐츠 개발과 섬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평생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했다.

◆지방재정 분야

지방채는 2011년 132억원에서 2012년 124억원으로 감소했고, 같은 기간 자체수입은 249억원에서 314억원으로 증가했다. 김규원 위원은 "자체수입이 증가한 내용을 분석해 지속적으로 재정 자립도를 높여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보건'복지 분야

전체 예산 중 복지비 비율이 2011년 7.85%(107억여원)에서 2013년 현재 8.64%(121억여원)로 상승했다. 취약계층을 위해 다문화가정 배려 정책, 입양아동 양육수당 지원, 계절 영세민 양곡 지원, 저소득층 주요 쿠폰 지원, 노인 목욕비 및 이'미용비 지원 등을 시행했다. 보건소 이용자 수는 2011년 1만여 명에서 2012년 6만여 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전채남 위원은 "복지비가 증가했지만 사회적 약자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했다.

◆여성 분야

출산지원금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어린이집에 인건비, 간식비 등 각종 지원금이 늘어나고 있다. 여성대학, 이동여성회관, 양성평등교육 등을 실시했다. 6급 이상 간부 중 여성 비율이 2011년 12%(12명)에서 올 6월 현재 15%(15명)로 증가했다. 최병덕 위원은 "여성정책이 저출산, 보육에 집중돼 있어 취업 및 성차별 해소를 위한 정책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환경 분야

울릉도만이 가질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한 그린에너지로 자급하는 녹색섬 추진, 22가구 및 보건의료원에 156㎾, 군민회관 및 죽도 관광지구 내 풍력 2.4㎾ 2기, 태양광발전 10㎾ 발전시설을 설치했다. 주민 안전을 위해 저동3리 2지구 붕괴위험지구 정비, 재해위험지구정비사업, 학교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 지도'점검 강화 등을 시행했다. 이재명 위원은 "난개발 방지 정책은 없지만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안전사고 예방과 주민의 건강을 지키려는 노력은 보인다"고 했다.

◆공약 이행

9개 분야 35건의 공약 중 완료 6건, 추진 중 24건, 미착수 3건, 추진 불가 2건이었다. 최병덕 위원은 "공약 이행 정도가 정확히 파악이 안 되고, 이행계획이나 사업비 확보에 대한 근거가 미흡해 많은 공약이 임기 내 이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