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朴 대통령-全 전 대통령과의 '악연'

5공 정부 당시엔 아버지 추도식도 못해

검찰이 전두환 전 대통령 재산 압수에 들어가면서 박근혜 대통령과 전 전 대통령 간의 과거사가 관심을 끌고 있다.

두 사람의 인연은 1976년 전 전 대통령이 당시 청와대 경호실 작전차장보로 발탁되면서 시작됐다. 박 대통령은 당시 '퍼스트레이디 대행'이었다. 전 전 대통령은 당시 박 대통령을 퍼스트레이디로 깍듯하게 예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979년 10'26 직후 합동수사본부장이던 전 전 대통령은 청와대 금고에서 찾은 현금 6억원을 선친을 여읜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달한 바 있다.

지난 대선 당시 TV 토론회에서 "당시 은마아파트 30채를 살 수 있는 돈이었다"며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가 거론했던 바로 그 문제의 6억원이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 받은 것인데 저는 자식도 없고 아무 가족도 없는 상황에서 다 사회에 환원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전 전 대통령이 정권을 잡으면서 이런 인연은 '악연'으로 변했다. 12'12쿠데타로 정권을 잡아 정통성이 약했던 5공 정부가 민심을 얻기 위해 박정희 정권과의 차별화에 나서면서부터다.

당시 정권은 지난 정권의 실정을 비난했고 전 전 대통령 집권 이후 6년간 박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아버지 추도식을 하지 못했다.

당시 박 대통령의 자서전에는 "세상인심이 하루아침에 바뀔 수도 있는 것이었다. 18년간 한 나라를 이끌어온 대통령으로서 사후에 정치적 평가를 받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이 새로운 권력에 줄 서고자 하는 사람들에 의해 거짓과 추측, 비난 일색으로 매도되고 왜곡된다면 억울한 일"이라고 개탄했다.

박 대통령은 2004년 8월 당시 한나라당 대표로 선출됐을 때 취임 인사차 서울 연희동으로 전 전 대통령을 찾아간 적이 있다, 하지만 이후로 특별한 교류는 없었다.

두 사람은 지난 2월 25일 박 대통령의 취임식장에서 '해후'했지만, 별다른 이야기는 나누지 않았다.

이어 박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국무회의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전직 대통령 추징금 문제도 과거 10년 이상 쌓여온 일인데 역대 정부가 해결 못해 이제야 새 정부가 의지를 갖고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며 강한 환수 의지를 드러냈다.

정치권에서는 전 전 대통령 일가 재산 압수가 박 대통령의 강한 의중이 깔린 것이란 해석을 내놓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