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의 한국사 필수과목 폐지 방침 발표로 시작한 '한국사' 문제가 논란이다. 서울대는 이를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지만, 여론은 청소년의 심각한 역사 인식 부족 등을 이유로 수능에서의 필수과목 지정으로 모였다. 이어 대통령이 한국사 교육 강화 필요성을 언급했고, 정치권은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추진 중이다. 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청와대와 국회 등에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전달했다. 반면 사회 과목 교사'교수 모임인 한국사회과교육학회는 다른 과목과의 형평성과 학생 부담 가중을 들어 이를 반대한다.
냉정하게 보면, 서울대가 한국사를 필수과목에서 빼겠다는 논리는 옳다. 한국사는 서울대만 필수여서 서울대 갈 학생만 치는 과목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웬만큼 공부해도 성적이나 등급을 잘 받기가 어려워 선택을 피하는 것이다. 이는 전체 수험생의 약 7%만 한국사를 선택하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결국, 당연히 알아야 할 한국사의 가치가 수능 시험으로 좌지우지되는 꼴이다.
한 나라의 역사는 국민이 당연히 알아야 할 의무다. 역사를 모르고서는 똑바른 국가관이나 가치관을 갖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해 청소년기에 확실한 역사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과목 간 형평성이나 학생 부담 가중을 이유로 반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국사 교육 강화'라는 절대 명제를 전제하고서, 드러날 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오히려 지금은 여러 검정 교과서에서 드러난 좌우 편향 시각이나 일치하지 않는 논란에 대한 정리 등을 통해 한국사 과목을 어떻게 통일된 교과서로 만들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할 때다.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