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헬스 & 웰빙] 부강외과-하지정맥류

수술 흉터? 경화·레이저법으로 걱정까지 싹~

하지정맥류는 다리에 핏줄이 울룩불룩 튀어나와 보이고 다리가 무겁고 부으며, 이상 감각, 통증까지 동반된다. 그리고 푸르게 혈관이 도드라져 보일 뿐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 않아 병이 상당히 진행된 뒤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정맥혈관에 이상이 생겨 부풀어 오르는 대표적 정맥혈관질환인 하지정맥류는 전체 인구의 약 20%가 걸릴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2배 정도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임신 전후로 병이 급속히 진행되는 경향을 보인다.

◆원인 및 증상

정맥류가 진행되는 원인은 탄탄하게 유지되던 정맥이 임신이나 과도한 운동 등으로 인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정맥 내에 피의 역류를 방지하는 판막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해 다리의 정맥순환 장애가 발생해 일어난다. 정맥의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다리가 갈수록 무거워지면서 붓는다. 다리가 저리고 아파 잠을 설치거나 쥐가 나기도 한다. 병이 진행되면서 혈전성 정맥염, 출혈, 피부궤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정맥류는 나이가 들수록 계속 진행하는 질환이므로 증상이 그리 심하지 않더라도 조기에 치료하고 예방하는 것이 좋다.

◆치료법

정맥류는 사람에 따라 아주 미세한 혈관의 병변에서 굵은 혈관의 병변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어떠한 양상의 정맥류인가에 따라 치료 방식도 달라진다. 치료법으로는 많이 늘어난 정맥류를 제거하는 수술요법과 수술로 제거하기 힘든 가는 혈관을 치료하는 경화주사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수술적 요법은 재발률이 가장 낮은 치료이고 근본적인 치료법이지만 절개 흉터가 남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더 작은 절개로 치료하는 방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레이저 요법의 경우, 수술적 요법에 비해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심한 정맥류에는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고, 혈관이 제거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 이물감을 발생시키기도 하며, 재발률이 수술에 비해 높은 것이 단점이다.

경화주사요법은 혈관에 경화제를 넣어 정맥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국소침습으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지만 큰 혈관에 시행할 경우 정맥 혈전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재발의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인 치료부위 부종과 국소적 두드러기, 색소침착과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의심되면 빠른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화요법(Sclerotherapy)=망상정맥, 아주 가는 거미 모양 혈관의 치료에 이용된다. 약물을 가느다란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관 내로 주입한 후 외부에서 압박을 가해 혈관의 내벽을 유착시켜 혈관을 없애는 방법이다.

▷초음파 가이드 경화요법(Duplex Guided Sclerotherapy)=초음파를 이용해 타깃 혈관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약물에 의한 심부정맥 혈전증의 가능성이 있다.

▷상부결찰 및 발거술(Surgical stripping and High ligation)=과거에 많이 시행하던 방법으로 정맥을 제거하는 치료법의 하나이다.

▷국소절개 제거술(Ambulatory Mini Phlebectomy)=기존의 절제 방법에서 진화된 방식으로 작게(5㎜ 이하) 절개하여 병변이 있는 혈관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레이저 정맥류 치료(EVLT)=정맥 내에 머리카락 굵기의 광섬유를 넣어서 레이저를 정맥류 혈관에 쪼이면 혈관내벽의 변형을 가져와 정맥 굵기가 줄어들고 혈액의 역류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너무 오랜 시간 진행된 정맥류나 구불구불한 부위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치료하기가 어렵다.

▷의료용 고탄력 스타킹 착용=예방 차원 및 내과적 치료를 원할 경우 혹은 수술을 할 수 없는 신체적 상황일 경우에 시행한다. 스타킹으로 하지정맥류를 완치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정맥류가 점점 진행할수록 압박스타킹의 압력을 점점 올려야 한다.

이와 함께 몇 가지 치료방법을 소개한다.

▷가느다란 피부정맥의 변성만 있는 경우=혈관 강화요법+레이저(사진 즇)

▷교통정맥의 이상이 있고 중급 이상의 혈관이 침범된 경우=교통정맥 결찰술+국소 절개 제거술+혈관 레이저 치료(사진 즊)

▷대복제 정맥의 이상이 있는 경우=상부 결절 및 발거술+혈관 레이저 치료+국소 절개 제거술(사진 즋)

문의: 부강외과 053)638-7575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