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청소년 캠프 안전사고, 당국은 뭘 했나

여름 훈련 캠프에 참여했던 고교생 5명이 18일 파도에 휩쓸려 사망하거나 실종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체험 활동을 위해 충남 태안의 한 사설 캠프에 참여했다가 안전 관리 소홀로 인해 어처구니없는 일을 당한 것이다. 특히 방학을 맞아 전국에서 수많은 청소년이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문제의 '해병대' 훈련 캠프는 민간 청소년 수련 시설이다. 해병대와는 전혀 상관없이 태안의 한 유스호스텔이 운영하는 사설 업체로 피해 학생들이 다니던 공주사대부고 학교 측이 직접 업체와 접촉해 체험 활동을 진행했다. 구명조끼도 없이 바닷물에 뛰어들었다가 파도에 휩쓸려 무려 5명이 피해를 입었다는 점에서 놀랍고도 분노할 일이다.

이번 사고에서 보듯 심신 단련을 위한 체험 활동이 자칫 청소년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따져 볼 것이 많다. 캠프 운영 업체가 체험 프로그램의 경험이 많고 안전 관리에 전문성을 가졌다고는 하나 일부 관리 소홀과 안전 불감증이 자칫 이번처럼 인명 사고를 부를 수 있어서다. 무엇보다 캠프 시설의 경우 운영 업체가 학생 안전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안전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안전 불감증을 노출한다면 대형 인명 사고로 연결되는 것이다.

사설 캠프에 대한 교육 당국의 관리 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현실 또한 학부모 입장에서는 우려되는 대목이다. 교육청은 각 일선 학교가 개별적으로 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때문에 사설 캠프 현황과 이용 학생 수 파악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실정이 어떻든 교육청도 이번 사고 책임에서 전혀 자유로울 수는 없다. 아무리 정부나 지자체 허가를 받아 영업하는 곳이라도 교육 당국이 평소 사설 캠프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안전 관리를 강조했더라면 사정은 달랐을 것이다.

과거에도 청소년 여름 캠프나 극기 훈련 과정에서 여러 차례 인명 사고가 발생했다. 그때마다 안전 관리를 외쳤지만 별반 나아진 게 없다. 특히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은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언제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각종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철저한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 캠프 선택에 신중을 기하라는 지침만 내리고 손 놓고 있을 일이 아니다.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서둘러 실태 파악에 나서고 안전 관리에 소홀함이 없도록 신경 써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