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이 이달 12일 대구 동구 신천동 무역회관에 문을 열었다.
대구지원 개소식에 참석한 정대표 한국소비자원 원장은 대구지원을 '작은 소비자원'이라고 했다. 지난해 16개 시도 지방소비자 행정 사업 예산은 연간 34억원에 불과하고 대구경북의 경우도 소비자행정을 담당하는 공무원이 시와 도에 각각 한 명, 연간 예산은 지자체 당 2억원을 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정 원장은 대구지원의 개소를 통해 소비자 행정의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정 원장은 "소비자보호 예산은 주민 1천명 당 약 7만원 정도에 불과해 이웃 일본의 150만원과 비교할 때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며 "지난해 대구경북에서 소비자불만과 피해를 호소한 사례는 6만건에 이르기 때문에 대구지원 개소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방 소비자행정에 힘을 실으려고 지원 개소를 이어가고 있다. 2011년 부산지원, 지난해에는 대전과 광주지원을 개소한 데 이어 이번에 대구지원을 열었다.
정 원장은 "지방 소비자보호 문제가 중요함에도 행정기관의 인력과 예산만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한국소비자원은 주요 거점도시에 지역사무소를 설치하고 지자체, 소비자단체, 학계, 지역 언론 등과 더불어 지방소비자의 권익 보호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지원은 소비자문제가 발생하는 현장에서 신속한 피해구제, 분쟁조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 정보제공과 교육을 진행한다.
대구지원 개소를 통해 기존 소비자단체의 활동이 위축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대해 정 원장은 먼저 개소한 부산지원의 사례를 들어 상생과 협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소비자피해 현안이었던 무료여행 당첨상술, 상조서비스, 부당채권추심 등과 관련해서 지자체, 소비자단체, 소비자원이 실태조사, 세미나 개최 등과 같은 공동 대응을 통해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했기 때문. 또 소비자단체의 각종 행사를 지원하고, 실무자들에 대한 교육과 정보제공을 통해 전문성 향상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
정 대표는 "소비자원 대구지원은 530만 대구경북 소비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협력의 한 복판에서 노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방소비자행정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60%선 붕괴…20대 부정 평가 높아
이재명 "말 안하니 진짜 가만히 있는 줄 알아, 치아도 흔들려"…관세협상 침묵 이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