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참여정부 폐기·삭제?-MB정부 관리 부실?

사라진 '史草' 둘러싼 의혹

여야의 수차례 검색에도 현재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사초'(史草)를 놓고 여야는 치열한 공방전을 벌일 태세다.

22일 오후 2시까지 대화록을 찾아내지 못할 경우, 여야의 공방전은 노무현-이명박정부에 대한 책임론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22일 운영위원회의에서 '회의록 부재'를 공식화한 뒤 노무현정부 책임론을 부각시킬 방침이다. 새누리당은 국가기록원에 정상회담 기록물이 없다는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화록을 기록원으로 보내지 않았다는 것과 마찬가지라 받아들이고 있다. 당 일각에선 지난 2007년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노 전 대통령 측이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을 담은 대화록과 음원 등 관련 자료를 폐기하도록 지시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특히 참여정부 말기 청와대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에 자료 삭제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알려져 도입 이유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대통령기록물 관리법에 위반되는 이러한 기능을 설치한 것을 두고, 추가된 기능을 이용해 회의 자료 및 대화록 등을 삭제하려고 한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민주당은 이명박정부 책임론을 주장하며 맞불을 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 당시 대화록을 훼손'폐기했다는 주장을 내놓으며 국가기록원의 기록물 관리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또 청와대와 새누리당 등 여권과 국가기록원이 대화록 부재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21일 기자간담회에서 "남재준 국정원장이 지난달 25일 국회 정보위에서 '국정원에 있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원본이며 국가기록원 내 대화록 존재 여부는 모른다'고 했는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국정원이 국가기록원에 대화록 문건이 없다는 것을 미리 알았던 것이 아닌지 의혹을 품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홍영표 의원도 이날 "이지원 사본을 보관하는 특수 서고의 봉인이 뜯기고 이명박정부 당시 2차례의 무단 접속이 이뤄진 흔적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친노 세력과 민주당 일부가 확실한 근거도 없이 이명박정부의 훼손 책임으로 몰아가는 것은 책임을 전가하려는 불순한 의도로 보인다"며 비판했다.

열람위원들은 홍 의원의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여 22일 최종 검색을 하기로 했지만 이를 위해선 추가 전문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져 시한 내에 검색 작업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이지현기자 everyda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