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아베의 일본, 현명한 선택 해야

아베 일본 총리가 이끄는 일 자민당이 중의원에 이어 참의원까지 장악, 장기 집권 발판을 마련했다. 어제 열린 참의원 선거서 자민당은 연립 여당인 공명당과 함께 과반 의석을 훌쩍 넘기는 압승을 거뒀다. 지난해 12월 총선에서 중의원 다수당이 된 데 이어 야당이 지배하던 참의원에서도 제1당의 지위에 올랐다. 앞으로 3년여 동안 선거가 없는 만큼 아베 정권은 상당 기간 독주하게 됐다.

아베 정권의 승리를 마냥 축하할 수만은 없다. 그는 틈만 나면 일본의 군대 보유를 금지한 평화헌법의 개정을 역설해 왔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 일제 피해국을 자극하는 언행도 일삼았다. 참의원 선거 승리가 확정되자 그는 평화헌법 개정 논의를 심화시키고 싶다는 뜻부터 밝혔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해서는 "각 각료는 자신의 신념에 따라 판단해 주기 바란다"며 종전 주장을 되풀이했다.

물론 이번 참의원 선거 승리가 우경화 탓만은 아니다. 상당 부분은 지리멸렬했던 야당과 돈을 풀어 경제를 살리려는 아베노믹스에 힘입은 바 크다. 아베 정권이 선거에 승리했다고 당장 우경화를 추진할지 아직은 알 수 없다. 그렇다고 선거에 편승, 이웃나라 여론에 아랑곳없이 우경화를 추진하려는 일본 정치권과 일부 국민들의 속셈을 간과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아베 정권은 여전히 일제의 침략 역사를 사실상 부인하고 있다. 일제 침략에서 시작된 독도 영유권 주장도 오히려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과거사에 대한 확실한 정리 없이 아베는 헌법 개정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 이웃 국가들에 대해 그들이 저질렀던 과오를 반성하고 같은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주는 것이 우선이다. 그러지 못하면 아베의 일본은 국제사회의 리더로 설 수 없다. 선거가 끝났으니 현명한 선택만 남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