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화록 책임론·지도부-친노 대립…부담만 커진 민주당

민주당이 사면초가 상황이다. 특히 친노무현(친노)계는 큰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회의록 실종'이 훼손과 파기가 오버랩되면서 정치적 부담만 더 커졌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흩어졌던 친노 세력이 이번 NLL 정국에서 재결집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전략 미비, 상황 파악 부재, 리더십 실종 등 문제점을 드러냈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선 국면에서 터진 국정원 여직원 댓글 사건을 두고 국정조사까지 이뤄지고 있음에도 전혀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친노계 일각에선 특검을 통해 '대화록 실종'의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민주당 지도부나 여권이 이를 받아들일지도 알 수 없다.

민주당 지도부도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김한길 당 대표는 '선(先) 국정조사, 후(後) 원본 공개' 입장을 꾸준히 밝혀왔지만 이를 관철시키진 못했다. 당내에서 회의록 공개에 부정적 견해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김 대표는 원본을 열람할 것이냐를 두고 벌어진 국회 표결에서 반대표를 던진 의원에게 경고장을 보냈다.

대화록 공개에 반대했던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트위터에서 "문재인 의원 'NLL 논란 질질 끌지 말고 끝내자' 만시지탄이나 말은 옳은 말입니다. 그렇다면 시작을 안 했어야 했고 민주당과 국민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썼고, 또 이어 "선택과 집중이 민주당에 필요합니다. 국정원의 대선 개입과 NLL 문건이 대선 전 새누리당에 유출된 사실이 포인트로 국정조사에 매진해 두 사실을 밝히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이쯤에서 이제 와서 덮자고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민주당 내에서는 문 의원과 친노계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간 친노계와 일부 강성파가 당 지도부와 엇박자로 간 것을 두고 쌓였던 감정이 터지고 있는 것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