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민생 속으로' 들어갈 것을 제안했다. 지난한 정쟁을 마무리하고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자는 취지에서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24일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이제 NLL 포기 논란은 사실상 끝나 있다고 생각합니다"라는 회견문을 읽었다. 김 대표는 "민주당은 NLL 논란을 보다 분명하게 매듭짓기 위해 국가기록원의 정상회담 회의록을 열람코자 했습니다만, 회의록 실종이라는 황당한 상황을 맞고 말았다"며 "결과적으로 소모적인 정쟁을 연장한 한쪽에 민주당이 서 있게 된 점에 대해서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회의록 실종에 대해선 여야 합의로 수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대표는 이어 "새누리당에 제안한다"며 국회 차원의 '국정원 대선 개입 국정조사' 진실 규명과 함께 '민생 살리기'로 당당하게 경쟁하자고 했다. 또 국조의 증인 및 참고인 선정은 양당이 요구하는 대상을 가능한 한 모두 포함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문재인 책임론'에 대해 김 대표는 "책임이 있다면 국회에서의 회의록 열람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당 대표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다. 저는 다른 누구를 탓하거나 책임을 미룰 생각이 없다"며 "모든 책임 논란도 당대표인 제가 안고 가겠다"고 했다.
문재인 의원은 이날 트위터에 "대화록 왜 없나 규명과 별도로 NLL 포기 논란은 끝내야 하지 않나요? 당연한 사리를 말했는데, 새누리당은 난리네요. 이제는 NLL 포기 주장에 대한 책임을 덮겠다는 건가요? 가해자의 적반하장이 무섭습니다. NLL 포기 주장이 거짓 아닙니까? 새누리당과 언론에 묻습니다"라고 썼다.
새누리당은 '이쯤에서 덮자'는 민주당의 주장을 두고 고민 중이다. 일단 문 의원에 대해선 '정계 은퇴'까지 언급하며 강경 모드이지만 '민생'에 대해서만큼은 민주당 의견에 공감하는 눈치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문 의원은) 대화록을 열람하자고 주도한 장본인으로서 아무런 해명이나 사과도 하지 않고 뜬금없이 그만두자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주장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노 전 대통령에게 대화록을 전달한 인사와 시기, 대통령지정기록물 지정 누락과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은 경위, 대화록 폐기 지시 및 이행 인물, 폐기 사실을 숨긴 이유 등 4가지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과한 수사 제동…李경북도지사 첫 사례 되나
경찰, 이철우 경북도지사 관사 압수수색…"결코 좌시하지 않겠다"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정동영 "대북 민간접촉 전면 허용…제한지침 폐지"
트럼프 "한국 3천500억달러 투자…상호관세 25%→15%"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