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방기업들, 창조경제 하고 싶지만 투자여력 많지 않아

지방소재 기업들 대부분이 '창조경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금 부족 등을 이유로 과감한 투자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방소재 기업 400개(매출액 상위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기업의 93.6%가 창조경제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고 28일 밝혔다.

아울러 창조경제 관련 사업에 나설 의향이 있는 기업은 61.1%로, 의향이 없는 기업(38.9%)보다 훨씬 많았다.

이들 기업들은 기술혁신(43.8%), 산업간 융합(24.2%), 정보통신·소프트웨어와 접목(15.8%), 디자인·콘텐츠 강화(13.0%) 등에 관심을 보였고, 추진방식으로는 정부사업 활용(30.5%), 독자 추진(20.4%), 공동투자(19.8%) 순이었다.

다만 일부기업들은 투자자금 부담(47.1%)과 내부공감대 미흡(15.0%), 이해부족(12.4%) 등을 이유로 당장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시제품 개발'(27.5%), '기초연구'(24.9%), '제품양산'(20.1%), '제품기획'(15.5%), '사후성과 관리'(11.7%) 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특히 지방소재 기업들의 경우 연구·개발 영역에서 일할 고급인력을 유치하는데 애를 먹고 있는 현실이 창조경제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기업들은 수도권 동종업체와 비교해 자사의 연구개발 수준이 뒤쳐진다(50.1%)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연구개발 인력을 운용하기가 쉽지 않은 열악한 환경(48.6%)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 밖에 시장동향 등 정보파악이 곤란(12.5%)할 뿐 아니라 협소한 시장(12.2%)과 협력 네트워크 풍토 미비(10.9%)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선도기업을 추격하는 단계를 넘어 우리 기업들이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창조경제의 기운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금융지원과 기술투자에 대한 세제혜택 그리고 각종 규제혁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