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방기업들 "창조경제 필요성 공감"

대한상의, 제조업 400곳 조사

지방 기업들은 창조경제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나 연구역량 강화 등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상반기에 열린 대구경북 기업들의 투자상담회. 오른쪽부터 이인선 경북도부지사,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이성숙 바이오라이트(주) 사장, 박보생 김천시장. 매일신문 Db
지방 기업들은 창조경제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나 연구역량 강화 등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상반기에 열린 대구경북 기업들의 투자상담회. 오른쪽부터 이인선 경북도부지사,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이성숙 바이오라이트(주) 사장, 박보생 김천시장. 매일신문 Db

지방기업 대부분은 창조경제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고 기술혁신'융합 등 창조경제 관련 사업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지방 기업도 절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도권 이외의 지방소재 제조기업 400개 사(매출액 상위업체)를 대상으로 '창조경제 대응 실태와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창조경제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미래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이 93.6%에 달했다고 28일 밝혔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6.4%에 불과했다.

이들 기업에게 산업 간 융복합, 기술혁신 등 창조경제 관련 사업에 나설 의향을 물은 결과에서도 '의향이 있다'(61.1%)는 응답이 '없다'(38.9%)는 답변보다 많이 나왔다.

대한상의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새 정부가 창조경제 정책을 표방한 영향도 있지만 후발국의 도전, 기존 추격형 전략의 한계 등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지방기업들 역시 창의와 혁신활동에 주목하는 것 같다"며 "정부는 창조경제와 관련해 기업이 바라는 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정책에 반영해 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창조경제를 추진하겠다는 기업은 관심 분야로 '기술혁신'(43.8%), '산업 간 융합'(24.2%), 'IT, SW와 접목'(15.8%), '디자인'콘텐츠 강화'(13.0%)를 주로 꼽았다.

'문화예술'인문학과의 융합' 추진 방식으로는 '정부사업 활용'(30.5%), '독자 추진'(20.4%), '다른 기업과 공동투자'(19.8%), '유망기업 M&A'(12.2%)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창조경제를 추진할 의사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그 이유로 '투자자금 부담'(47.1%)을 가장 많이 꼽았고 '내부 공감대 미흡'(15.0%), '생소한 개념으로 이해부족'(12.4%), '관련 제도 및 인프라 미비'(9.9%), '추진경험 부족'(9.2%), '기술력 낙후'(6.4%) 등을 들었다.

지방기업의 연구개발(R&D) 수준이 수도권에 비해 취약한 것도 창조경제 활성화의 걸림돌로 나타났다. 수도권 동종업체와 비교한 자사의 연구개발 수준에 대해 '더 높다'는 응답은 13.5%에 그친 반면 '뒤처진다'는 응답은 50.1%에 달했다.

연구개발 역량 중 취약분야에 대해서는 '시제품 개발'(27.5%), '기초연구'(24.9%), '제품양산'(20.1%), '제품기획'(15.5%), '사후성과 관리'(11.7%) 등을 꼽았다.

지방에서 연구개발 활동을 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인력운용 애로'(48.6%)를 꼽았으며 이어 '시장동향 등 정보파악 곤란'(12.5%), '협소한 시장'(12.2%), '협력 네트워크'협업 풍토 미비'(10.9%) 등을 들었다. '지자체의 관심 부족'도 5.6%에 달했다.

실제 지방기업의 절반 이상(56.2%)은 '연구개발 인력을 채용하는데 곤란을 겪는다'고 답했고, 연구개발 인력 중 부족한 연령대는 '30대'(48.6%)와 '20대'(38.9%)가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 수준은 '석사급'(39.4%), '대졸급'(37.7%), '박사급'(19.1%)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연구개발은 창조경제의 핵심 중 하나인데 작년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예산에서 대전을 제외한 지방이 차지하는 비중은 28.5%에 그쳤으며 우수인력이 지방기업을 외면하는 것도 문제"라며 "지방의 연구개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보다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업들은 지방의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지원'(33.3%), '연구개발 금융지원 확대'(18.8%), '기술투자 세제혜택 강화'(17.6%), '기술인력 양성 및 근무환경개선'(11.5%), '연구소 및 대학 역량 강화'(10.9%) 등을 차례로 꼽았다.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정부에 바라는 점으로는 '산학연, 기업 간 협력풍토 강화'(20.9%), '융'복합화를 가로막는 규제개선'(19.8%),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회 분위기 조성'(19.3%)을 순서대로 답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정부는 지방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자금과 세제 지원을 보다 강화하고 지방 기술인력에 양질의 교육기회를 부여하는 등 유인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방정부도 창조경영 기업을 우대하고 기업가 정신이 발현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데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