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은 자궁 평활근에 생기는 양성 종양을 말한다. 35세 이상 여성의 40~50%에서 발병하는 아주 흔한 질병이며 20, 30대에서도 많이 발생한다. 증상은 자궁근종의 크기에 비례해 생기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주요 증상은 월경과다, 빈혈, 무력감, 월경통, 빈뇨, 변비 등이 있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경우도 절반 정도나 된다. 그럼에도 불구, 자궁근종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이를 없애기 위해 수술을 원하는 여성이 많다.
그러나 자궁근종만 떼어내는 수술을 했을 때 재발하는 경우가 50% 정도 되고, 다시 생겨난 자궁근종을 없애기 위하여 2차, 3차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수술 후 생리통이 더욱 심해진 여성들도 있다.
자궁근종은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폐경이 되면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폐경까지 근종의 변화를 관찰한다. 2차적 변성이 생기거나 악성 변화가 일어날 경우 갑자기 커진다. 수술을 하지 않는 경우 6개월에 한 번씩 병원을 찾아 크기 변화를 관찰한다. 그러나 이처럼 악성화가 될 가능성은 0.2%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주 작은 가능성이라도 악성 변화를 잡아내기 위해 꾸준히 관찰하는 것은 필요하다. 하지만 근종이 있다는 것 자체가 꺼림칙해서 이를 제거하려는 것은 그야말로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다. 자궁근종을 발생시킨 생활이나 신체 습관을 고치고, 악화되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자궁근종은 아랫배가 차거나, 스트레스, 어혈, 습담과 같은 노폐물이 있을 때 발생한다. 아랫배를 따뜻하게 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노력하며, 생리 기간 동안 생리가 깨끗하게 끝나게 해서 어혈, 습담이 정체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특히 추운 겨울에 패션 때문에 내복을 입지 않거나 미니스커트를 입는 여성들이 많다. 이러한 경우 자궁을 감싸는 아랫배와 외음부 부위가 찬 공기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좋지 않다. 몸에 딱 붙는 스키니진이나 스타킹들도 혈액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가급적 입지 않는 것이 좋다. 자연스럽고 편안한 옷을 입는 것은 자궁근종 예방에 도움이 된다.
대구한의대 한방병원 여성의학과 장세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