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정부가 광복절 이전에 한국사 교육 강화 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이달 말 예정된 대학 입시 간소화 대책 발표와 겹치면 혼란을 부를 수 있어 빨리 마무리 짓기 위해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방안은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것보다는 별도 시험으로 대학 입시에 반영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가 현재 수능 시험의 원칙이 전 과목 선택제여서 한국사만 필수로 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대하기 때문이다.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에 대한 여론은 찬성 쪽이다. 여야 할 것 없이 정치권이 한국사 교육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고,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이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교육부가 이를 반대해 무산시키려는 것은 옳지 않다. 반대 이유도 설득력이 없다. 수능 전 과목 선택제는 원래 필수였던 국어, 수학, 영어를 올해부터 난이도에 따라 A, B형으로 나눈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도 수험생의 선택 폭을 넓히려고 만든 제도가 아니라 지난 정부가 사교육을 줄이려고 만든 임시 방책이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대학 입시가 더욱 혼란스러워졌다는 것은 전 국민이 다 알고 있다. 임시방편으로 만든 것을 수능 과목 선택제 원칙이라고 내세운다면 교육부는 명분 없이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사는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이 옳다. 당연히 알아야 할 우리 역사 교육을 강화한다는 명분뿐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시행하기가 가장 쉽다. 별도 시험을 치른다면, 시험 시행 기관이나 시기, 문'이과생의 구분 여부, 대학의 반영 방법과 비율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너무나 많다. 또, 이를 겨냥해 사교육이 기승을 부릴 것은 뻔하다. 명분도 있고, 걸림돌이 제일 적은 해결책을 두고 복잡하게 돌아갈 이유가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