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청와대의 만류에도 사퇴 의사를 굽히지 않은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과 관련, 여야가 서로 유리한 결과치를 도출하기 위한 셈법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민주당은 진 장관의 '항명'(抗命)을 박근혜정부 인사난맥상으로 부각시켜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에 흠집을 내겠다는 입장이다. 당장 진 장관이 29일 업무복귀 지시를 거부하자 "희대의 막장 드라마"라고 성토했다.
배재정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청와대발(發) 희대의 막장 드라마가 공직사회를 강타하고 있다"면서 "한 조직의 수장은 발가벗겨져 강제로 쫓겨나고, 또 다른 조직의 수장은 가출을 했다"고 비평했다. 혼외아들 의혹을 받는 채동욱 검찰총장이 법무부 감찰을 받고 물러나는 것과 박근혜정부의 복지정책을 책임진 진 장관이 국무총리의 거듭된 만류에도 사의를 굽히지 않은 상황을 한데 묶어 현 정부의 인사난맥상으로 몰아간 것이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정의당 원내대표단과의 회동에서 "국민이 우려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박근혜정부의 총체적인 난맥상이 드러나고 있다"며 "인사참사가 '시즌 2'로 들어온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인수위 시절의 잇단 낙마 사태를 '시즌 1'으로 규정한 전 원내대표는 "검찰총장 찍어내기와 진영 장관 사퇴 논란에다 법무부 장관의 인사 문제도 그렇고 기획재정부 장관의 무능까지 심각한 문제로 현실에 나타나고 있다"고도 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도 서면 논평을 통해 "복지공약의 1차적인 책임을 진 주무부처 장관이 엄중한 시기에 사표를 던지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며, "이번 사태는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말을 전혀 들으려 하지 않은 청와대 책임이 크다"고 비판했다. 청와대와 진 장관 모두에게 '무책임'이라며 싸잡아 비난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진 장관의 행동에 당혹해하면서도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당 지도부는 물론 대부분의 의원들이 진 장관의 돌출행동에 불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여권의 내홍(內訌)으로 비칠 것을 경계해 말을 아끼는 모습이다.
황우여 대표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과 장관 사이에서 일어난 일이라 당이 나서서 입장을 표명하기는 아직 어려운 상황"이라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진 장관이 오늘 기자들에게 '기초연금을 국민연금과 연계하는 것에 반대하고, 그래서 장관직을 사퇴한다'고 얘기했는데 납득이 안 된다"면서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연계하는 것은 정책위의장 시절부터 공약사항으로 얘기됐던 것으로 지금 와서 소신과 양심과 다르다고 하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고 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