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운 바람 부는 계절이면 호흡기 약한 어린이들은 특히 '천식'에 주의해야 한다. 천식 때문에 병의원을 찾아 진료받는 인원이 겨울철 중 특히 12월에 가장 많고, 이들 환자 3명 중 1명은 어린이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8~ 2012년)의 천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연평균 233만 명, 전체 진료비는 연평균 1천767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환자는 환절기인 4월과 겨울이 시작되는 12월에 가장 많았다. 4월과 12월 환자는 7, 8월에 비해 최소 17만 명 이상(약 1.6배) 많았다. 7, 8월 환자는 27만4천여 명인 데 비해 4월엔 45만5천여 명, 12월엔 44만5천여 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12년 기준 10세 미만 36.4%, 70세 이상 13.0%, 50대 10.9%의 순이었다. 특히 10세 미만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 3명 중 1명꼴로 나타났다. 특히 심한 연령층은 1~4세로 10세 미만 환자의 57.3%를 차지했다. 발육이 완전하지 않은 10세 미만 아동의 호흡기는 면역력이 약하고 감염 시 민감하게 반응해 기침, 호흡곤란 등이 쉽게 생긴다.
천식은 폐 속에 있는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반응 때문에 반복적'발작적으로 생기는 만성질환. 기관지가 좁아져 호흡곤란, 천명음(쌕쌕거리는 숨소리), 심한 기침 증세가 발생한다.
공기가 흐르는 길인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좁아져 숨이 차게 된다. 봄철에는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등에 의한 기도의 염증으로 많이 생기며, 황사'미세먼지도 원인이 된다. 겨울철에는 차고 건조한 날씨와 실내 생활로 인한 잦은 감기 때문에 주로 생긴다.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알레르겐'(allergen)으로 알려진 원인물질에는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식품, 약물 등이 있으며, 감기나 기후변화, 대기오염, 담배연기, 황사 등이 있을 때 심해진다.
예방을 위해 환경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천식환자의 경우 찬 공기에 갑자기 노출되거나, 감기에 안 걸리도록 주의하고, 적정 실내 온도'습도를 유지하며, 꾸준한 치료로 폐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