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의도 레이더] '대박'/우리가 할 일인데…

▶'대박'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한마디로 통일은 대박이라고 생각한다"고 한 발언이 한 주 내내 정치권에서 회자하고 있다. 외교'안보'경제활성화'불통 등 여러 이슈를 제친, 가장 인상적인 단어였다고 평가할 정도다. 온라인에선 '대박' 발언의 배경을 두고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신창민 교수의 '통일은 대박이다'라는 책을 읽었을 것이라는 추측이나, '개그콘서트'에 나오는 쌍둥이 개그맨의 유행어인 '대박사건'을 응용한 것이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대통령 박근혜'의 줄임 표현이라는 말도 있다. 배경이야 어찌 됐든 '대박'은 대통령의 발언 이후 정치권 신년 건배사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다. 친박계 핵심인 서청원 의원은 청와대 만찬에서 '통일, 대박'을 제안했고,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매일신문사가 주최한 신년교례회에서 대통령 발언을 언급하며 "대박을 터뜨릴 건 TK(대구경북)밖에 없다"고도 했다. 정치권 한 인사는 "창조경제 개념이 모호하다고 하는데, 대통령이 언급한 한마디 단어로 다양한 건배사를 만들어 냈으니 결국 이런 게 '창조경제'가 아니겠느냐"고 했다.

▶우리가 할 일인데…

새누리당 당헌'당규개정특위(위원장 이한구)가 5일 특별시와 광역시의 기초의회를 폐지하되 기초단체장의 정당 공천은 유지하기로 하는 내용이 골자인 '지방자치제 개선방안'을 밝히자 가장 놀란 사람들은 국회 정치개혁특위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이었다. 지난달 구성된 정개특위가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룰'을 만들기 위해 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과 한창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론이라며 답안지를 뜬금 없이 발표했기 때문. 주호영 정개특위 위원장은 물론 특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말은 아끼면서도 "갑자기 이런 발표를 하나"라며 마뜩잖아 했다. 일부 의원은 "지방선거 관련 제도 개선은 국회 정개특위가 해야 할 몫인데, 한창 일하는 도중에 불쑥 튀어나와 '김을 뺐다'"고 했다.

정치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