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견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좋아진 것 같다. 예전에는 버려진 동물은 버려진 이유가 있다는 선입견 때문에 유기견을 입양하는 분이 많지 않았고 기피했다.
그러나 언론이 유기견에 대한 좋은 이미지와 유명 연예인이 유기견을 입양하여 잘 키우고 있는 것을 보도하면서 유기견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불쌍한 유기견을 새로운 가족으로 맞이하는 것도 의미가 있고, 또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견을 입양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
대구는 타 지역보다 유기견이 안락사 되는 비율이 적은 편이다. 타 시'도의 경우 안락사 비율이나 자연사를 합치면 70~80% 이상이 된다.
대구의 경우 유기동물 중 40% 정도가 입양이 되고 있어 예전에 비해 진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유기견 입양 시 꼭 지켜야 할 것이 있다. 첫 번째는 중성화수술이다. 발정 난 동물이 집을 나와 다시 집으로 돌아가지 못해 유기견이 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유기되거나 유실되는 동물을 보면 중성화수술이 거의 안 돼 있다. 유기견 입양 시 꼭 중성화수술을 하고 입양했으면 한다.
두 번째는 예방접종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 유기견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접종을 전혀 하지 않은 개들도 있다. 이런 유기견을 입양하면 전염병에 걸릴 수 있다. 광견병과 같은 경우 인수공통전염병이기 때문에 반드시 예방접종을 해야 하고 항체 검사를 해 필요한 백신접종을 해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
세 번째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유기견 정책은 민원해결 차원이어서 좀더 보완했으면 한다. 동물보호 측면에 좀 더 포커스를 맞추어 정책을 펴 나갔으면 한다. 현재 유기견에 지원되는 단지 구조 및 사료비용뿐만 아니라 질병관리를 위한 비용도 지원했으면 한다. 또 검사 및 백신에 대한 비용과 안락사 및 자연사 되었을 때 화장비용까지도 지원해야 동물보호와 인간복지 등 두 가지 모두 이룰 수 있다.
네 번째는 입양을 공짜라는 개념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입양했으면 생명이 다할 때까지 책임진다는 의식이 필요하다. 진실로 동물을 키울 수 있는 마음가짐이나 준비가 되어 있는지 꼼꼼히 생각하고 버려진 생명에게 두 번의 상처를 주지 않도록 책임감 있는 행동이 필요하다.
동물등록제로 유기견 수가 줄고 있기는 하나 매달 300마리 유기견이 새로운 가족을 기다리고 있다.
유기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게 가장 좋겠지만 유기견을 입양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최동학(동인동물병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